우신예찬 - 라틴어 원전 완역본 현대지성 클래식 45
에라스무스 지음, 박문재 옮김 / 현대지성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책을 접하고 있으면 자연스럽게 '풍자'라는 단어가 떠오른다. 그야말로 '어리석음의 신'을 추앙하는 열혈한 신도?인 저자는 당시 사회의 지성과 상식으로 자리잡은 어느 면면을 살피고 이해하고 있으나, 이에 종속되지 않은 자유로운 사고를 지닌 인물로서, 그 자유의 진면모를 이 책 속에 한껏 뽐내고 있는 것이다.

때문에 결국 독자들은 르네상스에 비추어 드러나기 시작한 어느 가치관과 현상 등을 이 내용과 비교하여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얻는다. 실제로 당시의 권위와 신앙에 비판적인 인식을 가지고 더욱이 널리 주장할 수 있게 된 것은 분명 저술과 출판에 이르는 수 많은 부분에 혁신적인 변화가 일어났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그보다 먼저 기존의 가치관이 결국 새로운 가치관에 밀려 그 지위를 상실해가고 있었다는 흐름이 제일의 이유가 되지 않는가 한다.

꽉 막힌 독자가 아니라면 미사여구를 사용하는 난해한 연설보다 농담 같은 얘기에서 더 많은 것을 얻을 수 있지 않겠습니까? (...) 나는 어리석음을 예찬하되 결코 어리석지 않게 예찬했습니다.

15쪽 서문

그러나 이는 그 시대에 있어서 어떠한 것을 '모독'하는 내용이다. 특히 오래도록 어느 문명과 사회와 질서의 기본이 되어온 어느 개념... 또는 '지성'으로 이해되는 영역을 과감하고 또 '농담을 섞어 모독'하는 것은 오늘날 자유의 의미를 제일의 기치로 삼는 민주주의 사회 속에서도 그 만만치 않은 갈등과 논란을 야기시키는 행위이기도 하기에, 이에 생각여하에 따라 과거 중세에 있어 이것이 어떠한 영향을 미쳤을지... 감히 상상이 되지 않는다.

각설하고 오늘날에 이르러 '우신예찬'의 내용이 비판적이나 '수용할 수 있는 내용'이 되었다는 것은 결국 그 비판적 요소가 (오랜 역사 속에서)수정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과거 중세시대 제일의 지성이 만들어낸 결과가 '마녀를 심판하는 망치'와 '면죄부'였다면 결국 이를 비판하지 않았을때 마주할 수 있는 미래의 모습은 과연 오늘날과 같다고 할 수 있는가?

그러고 보면 비평과 풍자가 가지는 가치는 일반적으로 흔히 생각하는 '반대'의 의미와는 다른 것. 이른바 변화를 이끌어내는 힘에 있다고 생각이 된다. 실제로 이 책을 쓴 저자 역시도 지성인이며, 특히 다른 지성(인문주의)을 신봉?하는 다양한 지성인에게 있어 어떠한 영감을 주었다는 것은 이 책이 그 시대에 수행한 제일의 역활이였다. 그렇기에 이미 이성과 철학, 인문사회가 일반화된 현실을 살아가는 '나'에게 있어서도 분명 이 책은 과거에 이 당연한 세상을 만드는데 큰 역활을 한 '혁신과 변화의 힘'을 담은 것으로 이해된다.

(...)내가 거부하면 그 즉시 나를 이단으로 몰아갑니다. 그들은 자기 마음에 들지 않는 사람에게 그런식으로 겁을 주는 습관이 몸에 배어 있기 때문입니다.

166쪽 신학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