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으로 읽는 고려왕조실록 - 고려의 흥망성쇠를 결정한 34인의 왕 이야기
이동연 지음 / 평단(평단문화사)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왕조국가인 고려는 결국 그 지도자 왕과 왕실 그리고 권력층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그렇기에 한때는 찬란한 평화의 나날을 누리기도 했으나, 다른때는 외세와 국내의 난리로 인하여 국가의 안위와 백성의 삶과 목숨을 위협받으며, 그 지도자 나름대로의 자질을 시험받기도 했는데 이에 이 책은 단순히 어느 역사의 사실과 해석의 영역을 떠나, 인간의 내면을 탐구하는 심리학을 통해 역사와 그 지도자를 바라보았다는 점에서 이 책 나름대로의 개성을 살렸다고 보여진다.

실제로 각각의 왕들은 저마다의 출생과 환경, 그리고 앞으로 부여될 왕으로서의 책무에 대하여 다양한 모습을 보인다. 예를 들어 왕권의 강화와, (거란)외세의 침략에 맞서 보다 가혹한 의무에 짖눌린 현종같은 경우는 그 개인사의 불행에도 불구하고 '흠을 잡을 수 없는' 뛰어난 자질을 보이며 고려 최고의 성군으로서 역사에 남았다. 이때 일반적인 심리학의 시선으로 그를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가? 환경이 사람을 만든다거나, 트라우마가 인간에게 악영향을 미친다거나 하는 일반상식에 기댄다면 분명 현종은 규격 외다. 다만 34인의 수 많은 왕들이 오롯이 나라에 막중한 책임을 완수하고, 국가의 발전을 추구하며, 백성을 자비롭게 통치했다면 좋았겠지만, 역시나 한 인간의 천성이라 불리우는 '개성'의 영향을 받은 왕은 결국 그 장단점을 어떻게 통찰하고 반성하였는가에 따라, 그 개인의 삶 뿐만이 아니라, 고려라는 국가의 운명도 변화시켜 버렸다.

고려 왕 34명도 각자 내면의 그림자를 가지고 있었다. 이 그림자를 '내면의 상처' (...) 이 책에서는 이러한 그림자를 심리학이라는 현대 이론으로 들여다보았다.

머리말

결국 왕 또한 인간의 그림자를 벗어던지지 못한 존재이다. 그리고 그 그림자는 신분과 시대를 떠나 모든 인간들이 저마다 하나씩 지니고 있는 것이기도 하다. 때문에 한번쯤 자신과 비슷한 성격을 지닌 고려의 왕, 또는 스스로가 마주하고픈 문제를 안고 있었던 왕의 과거를 통해, 한번쯤 나 자신의 모습도 돌아보는 것도 좋겠다는 생각이 미친다.

물론 그러한 과거의 사건이 오늘을 살아가는데 구체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적어도 어느 문제를 떠안고 괴로워하는 사람에게 이를 극복한 사실이나,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주는 것에 있어서, 이 책의 '고려왕조실록'은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여느 역사적 사실을 뛰어넘는 다른 교훈을 건내줄 것이다.

너무 가깝지도 멀지도 않은 안전거리는 시행착오를 거쳐 터득된다. (...) 사람과 사람 사이에도 심리적 임계거리가 있는데, 유능한 리더는 이 거리를 본능적으로 팽팽하게 유지한다.

24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