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명과 배신의 시대 - 격동의 20세기, 한·중·일의 빛과 그림자 역사의 시그니처 1
정태헌 지음 / 21세기북스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북아의 역사를 통틀어 소위 '근대'가 가지는 영향력은 현대의 오늘날에도 막대하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의 역사에 있어서 경술국치와 오랜 (일제의)식민지배, 그리고 6.25와 같은 전쟁과 분단이 일어난 원인 등을 따져보게 되면, 결국 그 중심에는 서구의 근대화를 받아들이는데 당시 조선의 조정이 이를 배척하거나 소극적이였던 탓이 크다. 물론 이에 해당하는 서구의 근대화는 단순히 위력적인 무기나 선박과 같은 물질 뿐만이 아니라, 당시 지식층 사이에서 생겨나는 국가.사회의 발달을 위한 여러 철학적 개념도 포함된다.

결국 이와 같은 변화에 둔감했던 동북아의 두개의 문명(조선과 청나라)는 이후 일본이라는 통로를 이용하여 근대의 가치를 들여온다. 허나 이미 근대화를 마무리한 일본은 크게 제국주의를 앞세워 이웃나라의 미숙함을 이용하고 또 그들을 정복하려 시도한다. 이때 각 국가에서 영향력 있는 지식인이자 정치인들은 과연 그 무엇을 목적으로 움직이려 했는가? 아니... 적어도 오늘날 현대의 최고의 가치를 지닌 '자유와 평등'의 개념이 완성되기 이전의 시대에 '과거의 지식인'들은 앞으로의 미래를 위한 지향점을 각각 무엇이라 믿고 행동하여 왔는가? 이에 이 책은 그러한 과정 속에서 후대의 존경을 받는 혁명가, 독립운동가 뿐만이 아닌 나라에 해를 끼친 무능과 매국을 아루르는 보다 다양한 인물들을 대상으로 앞서 언급한 질문에 대한 해답을 드러내려 한다.

근대주의를 수용하면서도 주체성과 존엄성을 바탕으로 끝임없이 고투했던 루쉰과는 전혀 달랐다. 그러나 '이광수의 생각'은 오늘날 한국에도 여전히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261쪽

각설하고 대한민국의 근대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단어는 (어쩌면) 자주와 독립이 아닌가 한다. 실제로 당시 많은 인물들은 위의 가치를 위해서 다양한 행동을 했으나, 결정적으로 이를 실현하기 위한 믿음 가운데 어떠한 논리를 따랐는가에 의하여, 역사는 그 평가를 다르게 한다. 결국 동북아에 불어닥친 제국주의의 폭풍이 지나간 이후 현대의 대중들은 과거의 힘과 국력을 바탕으로한 (민족을 아루르는) 우월주의가 지닌 치명적인 단점을 뒤돌아보고 또 이를 경계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많은 시간이 흐른 오늘날 다시끔 '힘의 논리'가 부활하고, 또는 앞선(다른이보다 뛰어난) 능력 등을 앞세워 이른바 격차(또는 갈등)를 만들어내는 현상을 바라보며, 다시끔 근대의 시대가 주었던 경고를 마주해야 할 때가 왔다는 생각도 든다.

도조는 일본이 중국과의 불평등조약 잔재를 일소하고, 동아시아 각 민족의 독립 또는 자치를 인정했으며, (...) 이런 역사 인식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일본의 주류적 흐름을 이룬다.

124쪽

물론 자유로운 시대 보다 다양한 역사의 해석과 주장이 등장하는 것은 우려할 만한 현상이 아니다. 그러나 문제는 그러한 흐름 가운데, 과거의 잘못이라 인식되는 사실과 사건, 그리고 교훈을 망각하게 하는 추종과 왜곡(또는 이데올로기)이 늘어나 결국 그러한 인식이 주류가 되어가는 날... 결국 그 대가 또한 과거와 비교하여 더욱 더 커다란 재앙이 되지 않을까? 하는 막연한 두려움이 든다.

결국 오늘날 서로의 국가가 공유하는 역사와 문화 등의 흐름 가운데, 적어도 '이것만은 지켜야 한다'는 철칙이 있다면? 이에 이 책은 그것을 독재와 특권을 지양하고, 그 무엇보다 인류 사이에 평등을 추구하는 이상의 실현을 위한 노력이 지속되어야 한다는 것이 아닌가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