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과 거북선 논쟁의 새로운 패러다임 - 민족의식을 탄생시킨 임진왜란 거북선 구조 논쟁의 새로운 가설, 도(櫂) 젓기
김평원 지음 / 책바퀴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속에서 활약한 '진짜' 거북선의 모습을 복원하기 위하여, 과연 오늘날까지 어떠한 노력이 있었는가. 물론 오래전에도 수 많은 학자들은 그 정답에 다가서기 위한 최선의 노력을 다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사실상 거북선의 세세한 설계도 등이 발견되지 않는 현실 속에서, 그나마 현대에 알 수 있는 것은 그저 임진왜란의 전란에서 활약한 돌격선이자, 전후 좌우 위력적인 대포를 발사할 수 있는 (거북머리를 단) 장갑 함선이였다는 것 뿐이다.

(이는 철갑선이라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철갑 또는 목재를 둘러 탑승 인원을 보호하는 구조였다는 뜻이다.)

그러나 이러한 '자료 부족'에도 불구하고, 오래도록 거북선은 (나름) 역사학을 통해 복원되고, 더욱이 대중 사이에 어떠한 상식선 등으로 정형화되었다. 예를 들어 나의 어린시절에는 철갑의 지붕에 유황 안개를 뿜어대는 (고개를 치켜세운) 작은 용머리를 가진 전투선이 흔히 '이순신 장군이 만들어 낸' 거북선이였고, 특히 주변 그 누구도 그 거북선의 모습에 의문을 가지지 않았다.

다만 오랜 시간이 지난 오늘날에는 분명 기존과는 다른 형태의 전투선의 모습 등으로 변화하였다. 특히 이는 단순히 이전의 '기록'에만 매몰되어 경직되어왔던 '역사학의 변화'와도 일맥상통한다. 그야말로 역사 속의 거북선을 복원하고자 하는 대전제를 목표로 그 밖의 진행과정 속에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 즉 주변의 다양한 전문 기술 등의 조언을 받아들임으로서, 단순히 이전 기록에 부합하는 해답을 발견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바다를 항해할 수 있는 선박, 특히 전장에서 활약할 수 있는 위력적인 전투선을 복원하는 시도를 통해 결국 오래전 잃어버린 거북선의 본질을 재발견 할 수 있는 여지를 만들어 가는 것 또한 오늘날 '역사학의 성과'로 인정해야 마땅하다.

임진왜란 당시의 거북선을 타당하게 '상상 재현' 하기 위해서는 (...) 하지만 사람들의 관심은 이순신 거북선 원형에 집중되었을 뿐, 1795년 당시 실물로 존재했던 통제영 거북선과 거북선을 추정 재현하는 연구들은 별 주목을 받지 못했다.

72쪽

때문에 이후 거북선의 원형을 발견하기 위한 학술적 연구와, 거북선의 실질적 복원을 시도하는 다양한 형태의 프로젝트는 결국 현대 역사학의 가치 속에서 융합하였다. 그렇기에 흔히 영화에서 보이는 '거북선' 또한 단순히 오락적 요소나 어느 상징성을 띄는 소모품이 아니라, 오늘날까지 발전한 역사적 성과 또는 오류의 수정 가운데 다듬어진 결과물을 마주하는 것으로도 보여진다.

그렇기에 오늘날의 독자들은 거북선의 복원을 통해서 많은 가치를 발견할 수 있다. 이전 많은 이들이 거북선의 원형에 관심을 가졌던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그 (관심 등의)과정을 통해, 임진왜란의 발발과 이순신 장군의 활약... 더욱이 거북선이 왜적을 맞아 위력을 떨칠 수 밖에 없었던 역사적 사건(사실) 등을 마주하며, 분명 한국인으로서의 동질감과 민족적 자긍심을 자극받은 점은 없었는가?

결국 이는 오래전부터 한민족에게 있어 거북선 등은 어느 민족적 긍지, 또는 우월성을 공유하고 대중화 하는 수단으로서 만들어지고 또 그에 만족해왔다는 뜻이다. 허나 오늘날에는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보다 다양한 사실을 발견하기 위한 무수한 시도가 이루어진다. 이는 결국 현대인들이 단순히 정형화된 사실에 만족하는 것이 아니라, 역사가 가져다주는 다양함과 불완전성을 해결하기 위해 보다 똑똑해지고 또 자유로워졌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본다.

물론 이 책에 등장하는 무수한 거북선의 모습 또한 '가설'에 불과하다. 때문에 오늘날 어느것이 '정답인가'에 대한 무의미한 논쟁과 다툼보다 보다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것은? 현대 불확실한 '역사를 마주하는 탐구자'로서, 모두가 역사의 진보를 이끄는 보다 다양한 해석을 내놓고, 또 그 주장을 증명하는 활동을 이어 나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