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녀 - 남들보다 튀는 여자들의 목을 쳐라
모나 숄레 지음, 유정애 옮김 / 마음서재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먼저 책 속의 내용을 떠나, 나 스스로가 처음으로 생각했던 감상에는 "속았다" 라는 분노가 그 무엇보다 컸다. 실제로 내가 책을 통해 접하고자 '기대했던 것'은 과거 중세와 근대를 떠나, 오늘날의 세상에서 마녀라는 것이 어떠한 현상을 비추는가? 또는 마녀사냥이라는 단어 속에서 현재에도 크게 탄압받는 행위가 이루어지고 있는가? 에 대한 나름의 (저자 나름의) 진단을 엿보는데 있었다.

그렇기에 책은 적어도 옛 '마녀를 심판하는 망치' 만큼은 아니더라도 그 나름의 설득력과 자료 등으로 현대 마녀의 실체를 논하여야 했지만... 안타깝게도 그 두꺼운 분량의 내용 속에는 그저 과거의 마녀로서 탄압받았던 여성에 대한 이야기, 그리고 현대사회에서 일어나는 여성차별에 대한 의식과 실체에 대한 무수한 사례들이 나열되어 있을 뿐이였다.

더욱이 나는 그 수많은 사례들을 마주하며, 보다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지는 않는다. 다만 반대로 오늘날에도 여성혐오가 사라졌는가? 라는 질문을 받는다면...역시나 그 또한 사라지지 않았으며, 점차 사회에도 변화의 인식이 자라잡아야 한다는 주장을 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는 있다.

어떤 면에서는 여성 또한 역사 속의 패자이자 이 책이 상기시키듯 매우 폭력적인 역사의 패자들에 속한다. 왜 여성들만이 특정한 관점을 가질 권리가 없는 패자가 되었을까?

312쪽 세상을 정복하라.

허나 그것이 급진적인 사상 '페미니즘'에 온전히 부합하는 주장이라 정의하는 것은 위험하다. 그도 그럴것이 남.녀의 격렬한 (이념 등이) 충돌하는 현 시점이 아니더라도 과거부터 페미니즘의 사상은 급진적이라는 인식이 강했으며, 특히 사회 전반에 놓여진 불평등과 차별 또는 다수에 희생된 소수들의 권리를 보장해야 한다는 주장보다는 여성이라는 특정 성별의 권리를 보장해야 한다는 대전제에 그것은 너무 이기적이 아닌가 하는 부정적인 시선 또한 없지 않았다.

때문에 나는 이 책의 주제인 페미니즘의 역활과 필요성에 대한 내용보다는 좀더 다른 시선으로서 과거 여성을 억압했던 법률과 인식, 그리고 불안정한 사회 속에서 (비교적)사회적 약자에게 쏟아진 폭력의 역사에서 '여성' 또한 커다란 피해를 입을 수 밖에 없었던 나름의 (역사적)사실을 떠올린다.

권력의 모든 문제는 사람들을 그들의 할 수 있는 능력과 분리하는 데 있다. 독립적이면 권력은 있을 수 없다. -중략- 권력은 언제나 특정한 사례를 만들고 자신들 없이는 살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 주어야 한다.

재앙이 된 여성 독립

실제로 서양사에 있어서 '마녀'라는 단어에 녹아있는 혐오의 정체는 앞서 언급했던 '여성의 혐오'에 대한 역사라 칭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에 오랜세월동안 여성은 크게 국가와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한정된 역활을 부여받았고, 또 때때로 시스템의 불안요소 가운데서, 대중의 추악한 공동의식의 배출구가 되어 막대한 희생을 치루기도 했다. 그렇기에 저자가 칭하는 마녀라는 단어 속에는 크게 역사 속 희생되어진 여성들의 흔적 뿐만이 아니라, (이후) 그 흔적이 남아 현대 사회에서도 차별을 인식하지 못하고, 또 그것이 일상의 상식으로 굳어진 예 또한 포함될 것이다.​

이에 현대사회에서 '정치적 올바름'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그 예의 본질을 바라보고, 또 그 문제점의 해결을 위한 과정에서 페미니즘 또한 얼마만큼의 역할 또는 (평등과 같은)이념을 제시하고 또 조정하는 역활에 머물러야 할 것이다. 더욱이 이 세상에 온전하고 완벽한 정의가 존재하기 어려운 만큼, 그 이상을 위해 노력하는 것은 중요하나, 다만 이에 무리하여 그 이념을 강림시키기 위하여 무리한 강요와 힘을 빌리려 한다면... 결국 그 정의는 또 다른 이유의 정의와 맞물려 커다란 갈등을 낳을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점 또한 한번 주장해보고자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