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중심리 현대지성 클래식 39
귀스타브 르 봉 지음, 강주헌 옮김 / 현대지성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대중은 어리석다... 아니 (한때) 대한민국을 관통했던 "국민은 개돼지와 다름이 없다" 는 말이 어째서 떠오르게 되는 것일까? 이에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이 책은 대중으로 불리우는 집단이 가지는 본연의 힘을 넘어 점차 민주화되어가는 와중에 가질 힘에 대한 나름의 주장이 기록되어 있는 책이다. 그렇기에 저자가 활동한 1895년대의 시대상을 떠나 오늘날의 마인드로서 책을 바라보게 되면 크게 두개의 감상을 가질 수 있다고 생각이 되는데, 이에 하나는 앞서 언급한 대중에 대한 차별적 인식이요, 또 다른 하나는 역시나 대중이 형성되어 만들어내는 힘 그리고 그 진행과정에서 드러나는 단순함이 (결국) 저자가 주장한 바와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군중의 일원인 개개인의 기질이 무척 다양하기 때문에 군중이 직접 목격한 사건을 무척 다양한 방법으로 왜곡할 것 같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전염이 일어나면서 왜곡은 군중의 모든 구성원에게 똑같은 성격을 띠고 똑같은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50쪽

그러나 현실적으로 국가의 정책 뿐만이 아니라, 사회에서 발생하는 어느 '표어'(또는 주장)에 이르기까지 그 목적에 활용되는 많은 것들은 단순해질 수 밖에 없다. 그도 그럴것이 수 많은 이해관계와 개개인이 가지는 가치관을 만족시키는 '완벽한 정책'이 이 세상에 존재할 수 있을까? 아니... 결국 대중과 사회를 이끌어가기 위해서는 결국 사회통념에 부합하는 개념을 앞세우는 방법이 가장 일반적이라할 수 있는 것이다.

때문에 과거의 왕정시대에는 개념을 통하여 국민들 이끌고 통제하였다면, 이에 민주화된 시대에는 개념을 통해 국민들 설득하거나 또는 선동하는 것으로서 그 역활의 변화가 일어났다고 보여진다. 이에 오늘날 일어났던 수 많은 사건들을 보라, 수 많은 사람들이 어느 슬로건에 공감하고 분노하며 모여들고 또 실행한 결과는 어떠한가? 이에 현대사회는 대중사회에 뿌리내린 사상과 기술, 그리고 국민이 지닌 권리를 어떻게 드러내는가에 따라, 다양한 결과를 이끌어내었다. 그러나 저자는 그 과정에 형성되는 것... 이른바 '심리적 군중'이 형성되고 또 힘을 가지게 되었을때 그것이 미칠 해악이 어떠할 것인지 그에 대하여 부정적인 입장을 펴고는 한다.

확언, 반복, 전염을 통해 확산된 사상은 '위신'이라는 신비한 힘을 얻어 강력해진다. -중략-위신은 인정을 요구할 뿐 반론을 허용하지 않는다.

273쪽 해석

흔히 정책을 결정할때,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지식과 논리, 크게 이성이 필요한 영역에 '심리적 군중'이 그 영향력을 미치게 된다면? 이에 이후 결정되어질 국가의 방향성과 정책의 모습은 과연 모든 국민들을 대변하는 것이 될 수 있을것인가? 또는 "여론이 협박으로 돌변해 정치인의 행동 노선까지 바꾼다"는 저자가 주장처럼 결국 국민의 이름으로 부여되는 힘에 의하여, 국가의 중추?가 갈대처럼 휘둘리는 것이 과연 국가와 사회에 이로운 일이 될 수 있는가?

각설하고 국민의 이름으로 한 목소리를 내게 되었을때, 이에 반대하고 우려하며 소극적일때, 이때 그 소수는 대중의 적이 되어 비난 (또는 공격)을 받았다는 것을 한번 떠올려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결국 이 질문에 대한 해답을 이끌어내기 위해서 당시 1800년대의 시대에서, 2020년의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아마 무수한 지식인들과 정치인 또는 국민들이 고뇌했을 것이 분명하다. 다만 안타깝게도 이를 해결할 정답은 존재하지 않을 것 같지만, 그럼에도 중요한 것은 그 끝없는 질문들이 대중의 어리석음이나, 그들을 폭도로서 정의하는 것이 아닌, 그 각각의 시대를 관통하는 '위협적인 힘'임을 인정하게 만들고, 이에 (해당)지도자들의 독선과 타락을 막고, 다른 면에서 국민의 억지주장과 무질서를 막는 균형의 천칭으로서 그 힘이 발현된다면? 결국 이는 사회에 긍정적인 '경각심'을 불러일으키는 하는 하나의 개념으로서, 자리잡게 되지 않겠는가... 하는 것이 나의 개인적인 감상중 하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