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제국, 실크로드의 개척자들 - 장군, 상인, 지식인
미할 비란.요나탄 브락.프란체스카 피아셰티 엮음, 이재황 옮김, 이주엽 감수 / 책과함께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몽골 유목민족이 제국을 이루고, 또 그들 스스로의 역사 뿐만이 아닌, 세계사의 영역에 있어서 어떠한 영향력을 미쳤는가에 대한 질문에 있어서... 분명 이에 수 많은 사람들은 '피와 정복'이라는 가장 야만스러운? 단어를 (먼저)떠올릴 것이라 생각이 된다. 실제로 동.서양의 실크로드의 주인이자 경영자이며, 특히 교류의 중심 역활을 한 기능을 가능하게 한 원인을 따지자면, 역시나 몽골의 끝없는 확장과(정책) 정복의 에너지(실행)가 없이는 설명 할 수 없다.

몽골인들의 이윤과 사치품에 대한 욕심은 상인들 사이에 치열한 경쟁이 일어날 조건을 만들었고, 또한 사회적.경제적으로 큰 신분 이동이 일어날 기회를 제공했다.

290쪽

그러나 이 책은 그러한 상식을 뒤로하고, 보다 온건하면서도 중요한 것. 특히 몽골제국이 가진 개성이 다른 여느 제국의 모습과는 다른점을 드러내며, 보다 생소한 모습의 제국에 대하여 정리한 내용들이 많아 나 스스로에게 있어석도 유독 흥미로운 내용이 많았다 기억한다.

예들 들어 각 민족과 국가의 차이점을 품고 그 중심에 서 '대의'를 만들어가는 모습은 어느 제국에서나 보여지는 공통점일 것이다. 거기에 더해 일반적으로 보다 선진적이라 주장하는 법률과 문화, (또는 국력)을 통하여 주변문명과 민족. 사회를 교화시키는 것이 이른바 가장 잘 알려진 '제국체제'의 형성과정이라고도 할 수 있겠지만 적어도 이 책 속의 제국 몽골은 그러한 것과는 다른 인식과 방법을 통하여, 저마다의 다른 문화와 종교, 그리고 피부색?을 조화시키는데 성공했다.

본인이 직접 먼 거리를 여행하는 고통과 위험을 떠안지 않고도 이 하나가 된 세계의 많은 부분을 알고 더 나아가 경험까지 할 수 있었던 것은 바로 몽골이 지배하는 유라시아 대륙에서 물건과 사상과 종교의 유동성이 전례없이 높아졌다는 진정한 증거일 것이다.

352쪽

이처럼 몽골제국이 가진 최대 특징은 정작 몽골인 스스로가 타국의 것을 받아들이는데 그리 큰 저항이 없었다는 것에 있다. 그야말로 '자국의 것과 다르다'는 이유로 배척하거나, 탄압. 절멸시키려는 움직임은 적어도 이 책에서는 보여지지 않는다. 도리어 보다 유용하거나 편리하거나, 또는 앞선 지식을 지닌 인물이 있다면 그들은 가장 가까운 곳에 두고 또 쓰고자 했다. 그 예로 장군에서 상인과 지식인 (학자와 관료)에 이르는 그 많은 사람들의 모습은 단어 그대로 다민족이라 칭해도 무엇하나 틀리지 않다. 이들은 각각 이슬람과 불교의 영향을 받고, 중동과 유라시아를 이어 형성된 제국의 지배 속에서 교류한다. 그리고 그 무엇보다 세계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그 교류는 서방에서 형성되어간 대항해시대와 함께 인류가 (보다 정교한)'세계'를 인식하게 하는데 큰 역활을 했음이 분명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