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모두의 미래를 짓다 - 건축 너머의 세계를 향한 치열한 질문과 성찰 서가명강 시리즈 17
김광현 지음 / 21세기북스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개인이 원하는 공간, 또는 공동체가 필요로 하는 공간... 이에 그것을 거주지이자 도시라는 개념으로 확장하여 생각한다면 분명 저마다 충족해야 할 조건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축가와 도시설계자들은 분명 건축이라는 공통의 영역에 속해 있지만, 정작 그들 스스로가 추구해야 할 것은 저마다 처한 환경과 한계, 그리고 그 무엇을 대상으로 하는가에 따라 큰 차이점을 드러내게 된다.

그렇기에 이 책은 크게 보면 건축이라는 틀로 바라본 사회학, 아니... 저자의 사회학에 가까운 정의를 다룬것이라 이해하면 좋을 것이라는 감상이 든다. 그야말로 고대부터 시작된 건축이라는 행위와 개념이 현대에 이르러 어떠한 형태로 변화하고 있는가. 그리고 단순히 거주와 공동체의 집합지에서 문화와 문명의 중심지인 폴리스의 개념... 그리고 더 나아가 지나친 집중(수도권 사회)를 인식하고 결국 그 극복을 위하여 건축이 어떠한 역활을 담당해야 하는가에 이르기까지. 이제 건축은 그저 웅장하고 상징적이며, 그저 튼튼한 공간을 배열하고 쌓아올리는 것이 아니라, 점차 변화하고 진보하는 사회의 바구니로서 그 토대를 제공해야 하는 큰 역활을 수행하여야 마땅하다는 것이 이 책의 주요 내용이 아닌가 한다.

욕망은 필요보다 먼저 나타나 새로운 필요를 낳는다. -중략- 건축도 마찬가지로 바라고 원하는 것에서 시작해야 한다고 본 것이다.

57쪽

실제로 대한민국 사회에 있어서도 건축이 미치는 영향력이란 거대하고 또 강력하다. 예를 들어 그저 단순한 부동산에서 출발하여 아파트의 프리미엄 전쟁, 더욱이 저마다 살아가는 아파트에서조차도 그 동.층에 이르는 차이에서 드러나는 갈등에 이르기까지 분명 이는 현대사회에서 심화된 현상이자, 각 개인주의가 확립되면서 만들어낸 사회문제라 인식할 수 있는 것이기도 하다. 물론 이는 어느 사회의 (부정적인) 단면에 불과하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을 부추키거나 방관한 주체로서 새롭게 성찰하고, 또 이를 극복하기 위한 혁신의 주체 또한 '현대의 건축'이 짊어져야 하는 조건이 되어야 마땅하다는 인식등이 주장되고 또 실행되려 한다는 것은? 분명 이는 건축이 가지는 보다 궁극적인 (개념의) 진보라 생각해도 좋을 것이다.

이처럼 필요성과 인식 그리고 실행은 과거와는 다른 문명의 모습, 즉 현대의 건축물은 첨단의 기술과 미적 감각... 그리고 서로 어우러져 만들어간 조화와 배려의 가장 상징적인 결과물이라 할 만하다. 이제 건축은 국민의 통제수단이나, 극단적인 실용의 영역에 속한 개념이 아니다. 최근 전통적인 미술관을 재단장 하는 것이나, 발전소나 장례식장 주변의 환경을 정돈하여, 시민들의 휴양지로 제공하는 것과 같이, 이에 건축은 목적과 성과만을 쫒는 것에서 벗어나, 보다 새로운 역활을 수행해야 하는 필요성이 주문되어진다. 이때 그러한 현상에 만들어갈 새로운 미래의 모습, 그리고 공동체와 개인의 인식과 사고방식... 그리고 생활상이 어떻게 달라질 것인가. 이에 저자는 그 방대한 질문과 기대에 대하여 나름의 긍정적인 주장을 펴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