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이란 무엇인가 - 삶을 바꾸는 문학의 힘, 명작을 통해 답을 얻다 이와나미 시리즈(이와나미문고)
구와바라 다케오 지음, 김수희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흔히 '문학'이란 단어를 통해 이에 많은 사람들이 떠올리고자 하는 이미지가 있다면? 그리고 결국 (저마다) 그 이미지를 현실화 하는 과정이 이루어지는 현상이 곧 독서의 성향으로 드러나게 된다면? 이처럼 앞서 언급한 주장에 기대어 생각해보면, 과거 1950년대에 쓰여진 이 논평 뿐만이 아니라, 바로 오늘날까지의 현상에 비추어 '독서문화'가 어떻게 변하고 있는가에 대한 나름이 기준이 되어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론적 지식의 기반이 될 만한 것, 즉 현실속에서 살아가는 인간에 대한 지식을 공급해주는 것이 바로 문학이다. -중략- 문학에 대한 실감적 지식은 흥미나 관심을 매개로 얻어진 것이므로 이른바 즐거운 지식이며 동시에 행동을 내포한 지식이다.

36.78쪽

그렇기에 이에 그러한 기준으로 생각보면 적어도 '나' 개인의 독서는 문학에 흥미를 가지고 또 이를 마주하려는 것과는 조금 거리가 있다고 본다. 각설하고 과거를 떠나 오늘날의 나 스스로가 하는 독서의 형태는 아마추어적인 학문을 다듬는 것에 가깝다. 물론 이 책의 저자와 같이, 오래전의 명저나 18~19세기들 통들어 (무르익은)계몽주의 작가들의 작품과 같은 '세계적으로 이름 높은' 작품만을 파고드는 것이 올바른 문학적 접근이라 할 수는 없을 것이다. 다만 반대로 현대의 대중들이 문학을 접하는 모습과 그 현상과 함께, 나 스스로가 진단한 문학의 접근법에 있어서, 어쩌면 이 책은 그 접점에서 진정 마주해야 하는 어느 것에 대한 선배로서의 조언이 녹아있다는 감상을 받는다.

비단 문학서만이 아니라 일본만큼 독서의 난맥상이 심각한 나라도 드물다. 독서광으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일본 국민이지만, 각자 자기가 좋아하는 수많은 책을 읽어가고 있을 뿐 정작 국민적 교양의 기반을 둔 '공통의 것'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162쪽

때문에 비록 타국의 문화를 빌어 온다 하여도, 그 전체적인 주장과 진단속 본질을 파고들다 보면 의외로 독서라는 그 행위에서 일어나는 가장 큰 문제가 눈에 들어온다. 예를 들어 과거 '신의 물방울'을 통해 와인의 소비가 증가했을때, 이에 정직하게 스스로 와인을 즐기려는 사람보다는 보다 소믈리에(전문가) 에 가까운 지식이나 행동 그리고 예의범절에 속박되어 결국 (스스로) 지쳐 나가떨어진 사람들이 많았다. ​

이처럼 독서와 문학의 영역에서도 이와 비슷한 현상이 드러난다. 그 개인 스스로 문학에 대한 높은 틀을 잡고, 보다 뛰어난 번역과 완역을 고집하고, 더 나아가 보다 그 나라의 언어로 접하는 것이 좋다며 원작를 권장하는 것은 적어도 저자의 입장에 있어선 '문학'이 아닌 '학문'의 영역에 속한다. 그야말로 '톨스토이'의 작품세계를 이해하겠다며 러시아어 학원으로 달려가고, 전문가의 해석에 매달리고, 스스로 톨스토이의 문학적 DNA를 우겨넣겠다고 덤벼드는 것은 어리석고 불필요하며 또 피곤한 일이 될 것이다.

다만 이 열정의 권장과 실행이 올바른 방향으로 흘러, 대중적으로 문학에 대한 문턱이 낮아지는 현상, 그리고 어마추어들이 모여 서로가 이해하는 문학의 흥미를 공유하서나 토론하는 장이 활성화 된다면, 그것이 비로소 '저자'가 원하는 가장 이상적인 문학의 대중화, 그리고 문학의 발전적 모습의 완성이라 이해할 수 있다고 본다. 각설하고 문학에는 특별함이 없어야 한다. 특히 문학의 감상적이고 낭만적인 분위기가 그것을 특별하게 한다면, 저자는 어쩌면 그 분위기 속의 '동경'에 대하여 크게 비난했을지도 모를 일이다.

국민의 문학 교양에서 '공통적인 것'이 얼마나 필요한지는 굳이 설명이 불필요할 정도다.

178쪽

그렇기에 결국 이 책은 실제 사회와 국민의 삶에 밑거름으로 자리잡을 '국민적 교양'을 위하여 문학이 해야 할 방향성에 대한 나름의 주장이라할 수 있겠다. 이에 앞서 언급한 권장과 토론, 그리고 과거 (전쟁중의 일본과 한국의 군부 독재 속) 국가의 영향력 아래서 이루어진 문학의 통제와 검열의 문제점을 통틀어, 가장 올바른 형태의 문학의 전파에는 어떠한 방법이 있는지, 그리고 어느 특정 집단의 교양이 아닌 '모두의 교양'은 과연 어떠한 모습으로 형성되어야 하는지, 이에 독자의 입장에서 서서 그리고 가장 평범한 사람으로서, 한번쯤 고민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