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아시아사 - 볼가강에서 몽골까지
피터 B. 골든 지음, 이주엽 옮김 / 책과함께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거 한반도의 역사를 빌어 바라본 중앙아시아의 역사와 문화는 이른바 '유목민족'이라는 단어로 정리할 수 있을 것 같다. 또한 동양의 많은 국가들도 흔히 북방의 기마민족을 겪으며, 그들의 호전성과 강력함을 발견하고 또 기록하였지만, 반대로 그것을 야만으로 인식하며 (실질적인) '위협' 그밖의 다른 문화의 차이를 인정하거나 또는 발견하려는 노력에 있어서는 많이 부족한 모습을 보여왔다.

때문에 나의 개인적인 지식에 기대어 생각해보아도 (학교에서의) 학습, 또는 세계사를 통해 바라본 수 많은 문명의모습 가운데서 '중앙아시아' 가 지니는 영향력은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그야말로 칭기즈칸과 같은 역사적 인물이 만들어낸 인상적인 (군사적)업적과는 달리, 이른바 중앙아시아의 문화... 이른바 각 문명의 생활양식과 종교 같은 세세한 부분에까지 지식의 폭을 넓히는 과정에는 분명 흔히 서양 그리스.로마의 역사를 이해하는 것과는 다른 더 집요한? 노력이 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마사게타이인들은 "무례하고, 야만적이고, 호전적"이며 "상거래에서는 솔직하고 잘 속지 않는" 자들이였다. -헤로도토스-

57쪽

그렇기에 이 책의 저자 또한 이 역사의 배움을 '세계사 지식의 완성' 이라 주장한다. 비록 과거 중요한 교류의 가교 역활을 한 '실크로드의 주인' 이였지만, 이후 대항해시대와 산업화를 거친 문명의 진보 앞에서, 세계의 중심축을 내어준 사실은 결과적으로 중앙아시아 문명의 실질적 쇠락 뿐만이 아닌 중앙아시아 역사의 쇠락 또한 불러왔다. 바로 그 쇠락의 그늘에서, 서양인이자 미국인인 저자가 동양의 역사에 집중하는 이유는 과연 무엇일까? 그리고 터키에서 중국에 이르는 드넓은 제국의 형성과정, 더욱이 오늘날 (많은) 서양의 역사 가운데서 중앙아시아의 유목민족은 단순히 파괴와 약탈만이 아닌 '전파자'로서 어떠한 역활을 수행했을까? 이 질문에 대하여 이 책은 분명 보다 체계적인 과정을 통해 중앙아시아 역사를 정리하고 드러낸다. 그야말로 쇠락의 역사를 보완하고, 이끌어내고, 정리하여 완성한 한 대륙의 역사란? 앞서 언급한 그대로 위대하고 인상적인 역사만이 돋보이는 과거를 벗어나, 인류 모든 역사가 (연구되어) 진보하는 진정한 세계사 완성의 과정이라할 수 있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