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의 거짓말 두 번째 이야기 인문학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2
박홍규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느 철학과는 다르게, 흔히 인문학이라고 하면 나름 인류사 모든것을 포괄한 것 뿐만이 아니라, 무언가 현실의 개인과 공동체의 삶에서 필요한 (어느) 실질적인 가르침을 얻기 수월한 것으로 이해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러나 적어도 이 책을 들여다보았을때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인문학의 모습은 앞서 기록한 것과는 반대로, 각각의 현실에 있어서 이용당한 인문학의 모습을 들추고, 지적하고, 보다 올바른 모습의 인문학이 어떻게 정의되고 활용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저자) 나름의 믿음이 굳게 자리잡은 모습이 인상적이였다.

이처럼 나 개인의 학습과 인식에 있어서도, 흔히 지성을 마주하려는 시도에 비추어 흔히 '대세'를 따르려고 했다. 그야말로 학교의 필독서로 그리스.로마신화가 추천되고, 정작 조국의 역사와 철학을 마주하기보다 서양의 고대철학을 접하려고 했으며, 더욱이 고대 이집트 등의 웅장함과 화려함, 그리고 서양세계의 정복과 전쟁과 같은 소위 영광의 시대라 포장되어 온 서양사의 모습을 마주하면서, 결국 이에 대한 비판보다는 그리 될 수 없었던 다른 문화권(문명)에 대한 비판의 눈초리를 보내며, 이른바 '학문의 권장'에 고개를 끄덕이던 때가 젊은날의 나의 모습이였다. (아니,그것이 세상의 상식으로 통할 때가 있었다.)

물론 저자 등이 그 흐름을... 역사를 부정하라는 메시지를 위해서 이 책을 쓰지는 않았을 것이다. 다만 오늘날 그리고 더 나아간 미래의 인류를 생각하며, 이른바 인문학은 보다 참된 인간의 가치를 빛낼 더 높은 인식을 주문하고, 실현시키려 노력해야 하는 학문이 되어야 마땅하다. 는 것이 어쩌면 이 책의 모든 것이라 할 수 있다는 감상이 든다.

서양 고대가 그리스.로마를 중심으로 한 제국주의의 역사였음을 부정할 수는 없다. 그런데 지금까지 그것을 수치로 생각하기보다는 위대한 역사로 숭상해왔다.

159쪽

때문에 점차 비평을 넘어서 드러나는 주장에 따르면, 저자 개인의 삶 뿐만이 아니라, 이 책의 주장에 이르는 많은 것이 매우 진보적인 것으로도 다가온다.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오늘날에도 강대국의 논리와 승자의 논리가 큰 영향을 미치는 현실 속에서 결국 인문학의 가치 또한 그에 따른 변명거리를 제공해 왔다. 예를 들어 '제국의 길'을 언급한 그리스의 페리클레스의 인식은 오랜 세월이 지난 오늘날에도 (애써 외면한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그 막강한 영향력을 미친다. 게다가 흔한 역사가 아닌, 그 결과가 낳은 인식에 있어서도, 인문학은 계급을 정당화하는데 이용되고, 문명간의 선진과 야만을 나누는데 쓰이며, 세상에 갈등과 차별을 낳았고 또 그것이 폭발한 전쟁을 정당화하는데도 쓰인 것을 부정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이때 저자는 이 모든것을 시대의 흐름 중에서 '최선'을 선택하려는 노력의 결과가 아닌, 오롯이 인문학의 거짓과 타락?이라 주장하는 것 같다. 때문에 결과적으로 내가 느낀 진보의 메시지 또한 지금까지 의심치 않았던 많은 교훈과 가치에 대한 비평과 지양에서 출발해야 하는 것이였다. 그렇기에 이에 그 메시지를 마주하는 독자들 특히! 국가의 존재와 사회를 결집시키는데 있어서 활용된 (상식이라 생각되어진) 현실 속의 가르침에 익숙한 사람들이라면, 과연 이 책을 어떻게 바라보게 될지 나는 그 감상이 사뭇 궁금해졌다. "희망하는 모든 민족이 독립의 길을 걸어야 평화와 인권이 보장된다"는 말을 혹 중국 등에 넌지시 던져보면 어떠한 반응을 할까? 물론 개인적으로 그 주장이 오롯이 어리석다, 비난하지는 않는다. 다만... 현실은 힘의 논리 위에 드리워진 불평등, 번영을 위한 희생과 강요, 그리고 자칫 최악으로 흘러갈 상황에 대비하여 만들어진 정의론의 하나로서, 이를 인문학이란 더 높은 것을 향하는 추진체가 아닌, 최악을 막는 브레이크로서 생각하는 '나'는 분명 저자와는 다른 생각과 정의를 가지고 있다. 새삼 인식하게 되는 계기를 마련하여 주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