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사 속의 중국 문화대혁명 이와나미 시리즈(이와나미문고)
바바 기미히코 지음, 장원철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흔히 '한국인이 지닌 대중적 인식'에 따른 문화대혁명의 모습은 분명 프랑스 대혁명 만큼 호의적인 것으론 비추어 지지 않을 것이다. 그도 그럴것이 한반도는 바로 그 혁명의 가치관! 더욱이 정치적 이데올로기를 배경으로 전쟁을 치루었고, 또 오늘날에도 해결( 또는 합의 되지 않는) 복잡한 문제 등으로 인하여, 국정과 민심 모두에게 있어서 악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당사자 중국 내에서 일어난 비극 등을 살펴보아도 그러하다. 최근 문화 대혁명의 본질을 두고 '숙청'이라 정의하고 있을 만큼 그 사건은 '홍위병'이라는 단어와 함께 중국 근대사 속 야만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고 있다. 더욱이 이 책은 좀 더 나아가, 이미 권력의 정점에 선 마오쩌둥 공산세력이 어쩌서 문화 대혁명을 용인하고, 또 장려 할 수밖에 없는가에 따른 원인의 진단과 더불어, 결국 그 혁명이 세계 곳곳에 '수출'되기까지의 그 혁명의 모습을 살피는데 있어 많은 노력을 쏟고 있다.

중국 혁명은 세계 혁명의 일부다.

208 페이지 마오쩌둥

그러나 본디 '사상의 전파'란 역사 속에서 그다지 특이하다 인식해야 할 것은 아니다. 다만! 원래부터 기득권의 위치에서 발현된 혁명이라는 그 특이성과 함께 인도네시아, 일본, 프랑스, 한국 등 현대사 속 프롤레타리아 혁명을 향한 불길을 '다시 끔' 일으켰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결국 중국 문화 대혁명이란? 비단 중국 내에서 발생한 독특한 민중 운동으로 볼 수 없다는 저자의 주장이 보다 설득력 있게 다가온다는 느낌을 받게 된다.

다만 그 혁명이라는 수 많은 시도와 결말의 모습을 엿보앗을때, 독자의 입장에서는 과연 이 사건이 앞으로의 미래를 진단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것인가? 하는 의문을 가지게 만든다. 실제로 현대 공산주의 혁명의 과정을 지켜보면, 그 결말은 결과적으로 실패의 역사라 부를 만하다. 물론 각 나라에 들불처럼 번진 전파력은 두려운 일이지만, 결국 사상의 논리가 아닌 '소비중심사회'로 무장한 나라와 국민들이 소위 공산화의 시도를 잘 막아냈다는 점에서 살펴보면, 역시나 근 현대의 (비교적) 짧은 시간동안 '논리'를 뛰어넘는 것은 사람의 삶과 의미, 그리고 그 목적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국가시스템의 건전성이 제일이였다. 라고 나는 생각하게 되었다.

이제 배가 부른 것 '이상'을 바라보게 된 사람들!

이에 혹여 '혁명'의 발현을 두려워해야 한다고 주장하려는 현대인이라면, 그보다 먼저, 그 공동체의 건강함을 먼저 걱정하고 개선하려는 주장을 먼저 해야하지 않을까? 안타깝지만 세상 모든 것은 유한하다. 이에 적어도 민주주의와 자본주의는 그 속의 (사람들의) 욕망을 충족하는데는 너그럽지만, 반대로 능력과 가치 속에서 뒤쳐지는 이들에 대한 욕망은 그리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는 약점이 있다.

'세상 모든 사람들은 스스로가 존귀해지기를 원한다' 어쩌면 이제 그 높은 의미의 실현욕구를 통한 새로운 혁명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 그 누가 장담하겠는가? 결국 이 책 속의 '이상한 현상' 또한 따지고 보면 가난의 타파를 위한 급진주의가 아니라, 공동체 속 경직화된 모든 것에 대한 반발심과 개선의 요구가 '혁명을 꿈꾸게 만들었다' 라고 보아야 한다. 이에 중국은 그 꿈이 더 널리 퍼지기를 원하고, 또 부채질을 했을 뿐... 각설하고 이를 두고 단순히 '잘못된 것의 태동이자 소멸'로서 이해하는 독자들이 있다 라고 한다면? 이에 나는 그것이 틀렸다 주장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