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클라라의 전쟁
캐시 케이서 지음, 황인호 그림, 김시경 옮김 / 스푼북 / 2019년 9월
평점 :
굳이 이 책이 아니더라도! 세계2차 세계대전이라는 역사 속에서, '게토' (유대인 거주구역) 특히 테레진 수용소에 대한 것은 소위 홀로코스트사에 있어서도 상당히 잘 알려진 것에 속한다. 실제로 독일 나치스에 의해 전격적으로 이루어진 '전쟁'에 대한 이야기와 함께, 다른 하나의 민족 그 자체를 (속칭) 보다 효율적으로 학살한 그 사실은, 그야말로 당시 전쟁사와 함께 가장 처참한 사실로서 받아들여져야 마땅할 것이다. 그렇기에 결과적으로 정의하자면, 이 책은 비교적 최근의 아이들(또는 청소년)에게 과거의 참상의 기억을 전달하는 것! 그야말로 현재와 과거를 연결하는 다리의 역활을 담당하려한다.
그래서일까? 결국 이 이야기는 단순한 가상의 이야기가 아니라, 보다 과거의 기억을 더한 '진실된 이야기'를 담은 것으로 이해해도 좋을 것이라 생각이 된다. 실제로 저자가 이 이야기를 표현하게 된 이유 등을 마주해봐도 그 뒤에는 언제나 과거의 기억이 함께한다. 특히 전쟁 중 직접 홀로코스트를 겪고 또 살아남은 부모를 두었기에, 아마도 저자는 어린시절부터 그 전쟁의 비극을 전해 들었을 것이 분명하지만? 그러나 아쉽게도 이에 그 개인적인 입장에 있어서, 혹여 저자가 무엇을 '계승'했는지는 지금의 나(독자)로서는 전혀 알 방법이 없었다.
그도 그럴것이 이 책은 오롯이 피해자를 위한 연민, 그리고 그러한 현실을 강제한 나치스에 대한 비난의 메시지가 넘쳐나지만! 이에 조금 더 생각해보면 그것은 예전부터 지금까지, 소위 홀로코스트를 다룬 여느 기록들에서 보여지는 전형적인 내용에 가깝다. 이에 조금 저자의 입장을 변호하자면 나름 청소년 소설을 쓰면서, 그 이상의 메시지는 불필요한 것으로 생각되었을지도 모르겠다. 어디까지나, 이 이야기를 시작으로 배경을 갈고 닦으며, 이에 더 나아가 역사를 마주하여, 스스로의 정의관을 구축하자... 그 옛날 독일3제국과 히틀러 정권이 만들어낸 전쟁범죄를 떠올리면서, 나중의 후손들은 그 점차 멀어져가는 역사의 사실과 기억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올바른 역사적 인식을 알고 또 계승해야 할 충분한 이유가 있다.
잊지 않기 위해서, 다시는 같은 잘못을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
어쩌면 '이 무슨 흔해빠진 주장인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의외로 역사란 그 단순한 교훈을 계승시키는데 있어서도, 의외로 큰 노력을 요구하기도 한다. 물론 오늘날까지 독일이 보여준 역사적인 속죄의 가치를 생각해보면, 앞으로 유대인 학살에 대한 그 인식에 있어서도 큰 갈등과 논쟁이 있을 것이라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다만! 나는 문득 이 책을 통해서, 또 다른 역사적 과오에 대한 진실공방... 그리고 현상과 문제점에 대하여 생각해보기로 했다. 작품 속 '대외선전'을 위해 (나치가) 테레진을 정비한 것과 같이... 본래 이 세상의 악이란 올곧은 절대악으로서 군림하지 않는다. 정비된 테레진, 밝은 표정의 유대인! 그 문화가 꽃 핀 거짓된 테레진이 그 한순간 '진실로서 받아들여진 사실'을 토대로 혹여 독일이 그 테레진의 일을 외곡하고 인정하지 않았다면? 혹 그러했다면 테레진은 역사의 과오을 상징하는 것이 아닌, 그저 논란만이 넘쳐나는 역사의 한 갈등요소로서 받아들여질 수도 있었을 것이다. 그렇다. 현대 이 나라에 자리잡은 어느 갈등과 같은 모습으로서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