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에서 24시간 살아보기 - 2000년 전 로마인의 일상을 들여다보는 생활 밀착형 문화사 고대 문명에서 24시간 살아보기
필립 마티작 지음, 이정민 옮김 / 매일경제신문사 / 2018년 6월
평점 :
품절


고대 로마인의 생활을 보다 밀접하게 바라보게 하는 책.   이렇게 24시간의 로마는 그 각

각의 시간에 걸맞는 직업의 사람들이 등장한다.   그러나 나는 개인적으로 이러한 내용에 대하

여 '신선함'보다는 '익숙함'을 느낀다.    그도 그럴것이 나는 또 다른 24시간의 로마를 그린 역

사책을 알고 있다.  (내가 알기에는) 과거 이탈리아 역사가 '알베르토 안젤라'가 쓴 '고대 로마

인의 24시간'!  바로 이 책이 위와 같은 시간의 개념을 처음으로 가져다 쓴 책이다. 


그렇기에 기획이 유사한 이 책은 결국 그 순수함을 떠나, 비교의 대상이 되어버렸다.   허나 그

렇다고 해서 이 책이 일종의 독자성을 잃어버렸다는 뜻은 절대 아니다.   실제로 과거의 책은

하루 24시간을 쪼개어 '대부분의 로마인'에 대한 생활상을 표현했다면 이 책은 이미 언급했지

만, 더 나아가 보다 그 시간에 밀접한 (관계된) 직업의 사람들을 등장시킴으로서 보다 현실적이

고 자세한 내용으로 독자들의 흥미를 이끈다.


예를 들어 고대 로마의 새벽을 책임진 대표적인 직업군에는 무엇이 있을까?     물론 어두운 거

리를 활보하는 부랑배들이나, 운반업자, 또는 아침 일찍 움직이려는 여행자들을 꼽을 수 있겠

지만, 이 책은 보다 밀접한 치한대원 '야경꾼'의 일과를 시작으로 한다.  때문에 아침, 점심,

저녁... 치안을 유지하고, 아침 일과를 준비하며, 활발한 도시에서 장사를 하고, 국정을 운영하

고 일과를 마치며 숙면에 드는 그 다양하고 많은 사람들을 표현함으로서 저마다의 전통과 예

법, 그리고 포괄적인 로마의 법률에 의지하는 '문명인'의 모습을 표현한다.


때문에 오늘날 보아도 그들의 모습은 대부분 위화감 없이 받아들여진다.   비록 노예, 종교, 정

치의 모습이 오늘날과 다르거나 과거의 것이 되어 버렸다 해도,  그들이 사법체계를 유지하고,

자급자족이 아닌 복잡한 도시생활을 통한 소비문화를 구축했다는 것은 분명 오늘날과 상당히

유사하다.   때문에 가만히 생각하면 이 책또한 '역사의 연속성'을 주장하는 여느 역사서와 다

를것이 없다는 감상을 품게하기 충분하다.


허나 그래도 신기하지 않은가?   이미 고대 로마는 멸망해 사라졌고, 심지어 '나'가 생활하는 문

명권의 국가도 아니다.   그러나 나는 이 로마의 생활에 대하여 거부감이나, 생소함이 보다 덜

하다.   아니... 오히려 국제인의 감각과 현대인의 정서로 판단할때 고대 로마인은 분명 선진적

이고 효율적인 문명을 이룩해낸 보기 드문 민족임을 인정하게 만든다.    그렇기에 예전에는 그

들의 효율성과 국민성, 역사적 위업을 통하여 로마인을 알려고 했다.   그러나 그것을 만들어

낸 '인간''개인'의 역사에 대해선 생각보다 소홀하지 않았나 한다.    그렇기에 이 책은 그것을

보충하는 책이라 이해하자,  이 책에는 영광과 변영, 민족주의의 내용이 없다.    오히려 개인

의 삶,  부자가 되고 싶고, 맛있는 것을 먹고 싶고, 사랑을 하고 싶은 고대 인간의 감정과 욕망

이 내용에 분명히 드러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