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사회적 기업 만들기>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 인터넷이 우리의 뇌 구조를 바꾸고 있다
니콜라스 카 지음, 최지향 옮김 / 청림출판 / 2011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의 원제는 The Shallows입니다. 이를 직역하면 얕은 사고를 지닌 사람 정도로 되지 않을까 싶은데, 이를 생각하지 않는 사람이란 제목으로 바꿔 출간한 것이죠. 이 제목만을 보더라도 이 책에서 무슨 이야기가 나올 지 쉽게 짐작할 수 있습니다. 거기다가 앞뒤에 '인터넷이 우리의 뇌 구조를 바꾸고 있다', '인터넷이 우리의 사고방식을 얕고 가볍게 만든다'란 문구가 들어가니 책을 읽지 않더라도 이 책의 결론을 너무나 예측할 수 있습니다.
네. 그렇습니다. 이 책의 저자는 인터넷에 빠지게 되면서 우리의 뇌 구조가 변화하게 되었으며, 너무 많은 정보의 난입으로 인해 산만해지고 집중력이 오히려 저하되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정보의 홍수라는 표현대로 우리는 인터넷에서 많은 정보를 찾을 수 있었지만, 그 대사로 기존의 것들을 내놓아야했습니다. 예전 인쇄된 신문을 읽는 시대에는 각 기사를 아니 최소한 관심이 가는 기사는 정독으로 읽어왔지만, 인쇄 매체보다는 컴퓨터 앞에서 인터넷 기사를 읽는 지금에 와서는 과거처럼 집중력을 가지고 읽기보다는 대강 훑는 정도로 그치기 쉽다는 겁니다. 제목만 읽는다든지 내용을 보더라도 대충 보고 지나친다는 것이죠. 짧은 시간 안에 수많은 정보를 받아들여야하기 때문에 한 곳에 오래 머물 수가 없고, 이로 인해 우리의 뇌 구조 또한 그렇게 변화해나간다는 겁니다.
이러한 결론을 뒷받침하는 예로, 각각 전자 문서와 종이를 읽는 그룹 2개를 선정하고 이후 질문지를 통해 어느 정도의 이해했는지를 평가하는 실험을 제시하였습니다.
모든 사람이 다 이러한 저자의 주장처럼 생활하고 있다고는 할 수는 없겠지만, 인터넷으로 인해 산만한 멀티태스킹으로 인해 오히려 일의 집중도와 효율성이 떨어지는 사례는 많은 사람들이 경험해온 일입니다. 예를 들어, 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 자료를 찾으려도 인터넷을 들어갔다가, 메일도 확인하고 쇼핑몰에도 들어가고 웹툰도 보는 등 딴짓에 시간을 빼앗겨버려 결국 보고서를 마치기 위해 밤을 새야했다는 일을 경험해본 대학생을 찾기란 그리 어렵지는 않을 겁니다.
이 저자의 주장과 결론에 수긍하지 않거나 잘못되었다고 말할 사람은 아마 드물지 않을까요?

하지만 제가 지적하고 싶은 것은 이 책에 일종의 서론이 너무 길다는 겁니다. 이 책은 총 10 챕터로 구성이 되어있는데, 이 중 7장만 읽어도 저자가 무슨 이야기를 하는지 알 수 있을 정도입니다. 나머지는 일반인에게는 지루하게 생각될 뉴론을 비롯한 생물학 강의와 출판의 역사 이야기 등으로 채워져있습니다. 30분이면 끝날 이야기를 가지고 2시간 강의로 하려고 애를 쓴 듯한 느낌입니다. 너무 서론이 긴 데 반해 정작 본론은 그에 비해 짧아 다소 허탈하기까지 합니다. 사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이 책의 제목과 앞뒤 표지에 있는 문구만 봐도 저자가 하고 싶은 이야기는 다 알 수 있을 정도니, 300여 페이지가 넘는 이 책을 다 읽을 필요성이 의문이 들지 않을 수 없네요. 때론 정독이 아니라 발췌독이 필요하니까 말이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