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기의 간주곡
J.M.G. 르 클레지오 지음, 윤미연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먼저 밝혀두자면, 난 노벨문학상 작가들이랑 별로 친하지 않다. 문학사적 의의나 작품의 역량보다는 재미를 추구하는 단순무식한 독자였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무슨 타이틀을 땄고 그래서 당신은 이 책 정도는 봐주어야 한다는 무언의 당위성이 싫기도 해서였다.

게다가 노벨 문학상은 엄청난 권위를 자랑하고 있기에 어딘가 내가 범접하기 힘든 책들이라는 생각이 들었던 것도 사실이었다. 아니 두려움이라고 해야 하나?
정확히 말하자면 작가가 책을 통해 독자들과 교감하려는 그 무엇인가를 캐치하지 못할 때의 공허함을 들키기 무서워서였으리라.

이 책 역시 책 띠지와 각종 소개 자료에 ‘노벨문학상 수상작가’라는 타이틀이 어김없이 붙어있었다. 그런데 그 홍보문구 아래에 유난히 나의 눈길을 끌었던 ‘한국에서 집필한’ 이라는 문구는 그 전까지는 어떠한 연결고리도 없던 작가와 나의 단촐한 매개체가 되어주는 것 같았다. 도대체 이 먼 땅 서울까지 와서 그가 남긴 글이 무엇이냐는 강한 호기심과 함께.
나중에 책을 다 읽고 신문기사를 찾아보니 르 클레지오가 한국에 온 이유는 통번역대학원에 교수로 초빙되어서라는 걸 알았고 작품과 서울은....아무런 관계가 없었음을 허무하게 확인했을 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책의 서두는 참 강렬하게 나의 시선을 끌었다.
“나는 허기를 잘 알고 있다. 그걸 겪어보았기 때문이다.”라는 시작으로.

 그리고 다음 페이지에서 이렇게 이어진다. 

“그 시절의 허기는 지금도 내 안에 있다. 나는 그 허기를 잊을 수가 없다. 그것은 강렬한 빛을 발하면서 내 어린 시절을 잊지 못하게 한다. 그런 허기를 겪지 않았더라면 아마도 그 시절, 모든 것이 부족했던 그 기나긴 세월에 대한 기억을 간직하지 못했으리라. 행복하다는 것, 그것은 기억할 것이 없음을 말한다.”

책을 다 읽은 후에야 이 2장에 압축해 놓은 작가의 소회가 결국 책 전체에 대한 이야기였음을 뒤늦게 발견하게 된다.
천진난만하고 풍요로운 어린 시절을 보낸 열 살 소녀 에텔이 조금씩 자신이 가진 것들을 잃게 되면서, 그리고 어른으로 성장해가면서 겪게 되는 이 엄청난 허기는 결국 그녀 자신의 인생이었다. 그녀는 마침내 그 허기를 메우기 위해 생존하는 법을 배웠고 살아갈 힘을 얻게 된 게 아닌가 싶었으니까. 어린 시절 제니아를 향한 뜨거운 우정은 스스로가 목말라했던 허구의 상대로 선택되었고 주변 인물들과의 갈등과 관계변화는 그녀의 인생 또한 겉잡을 수 없는 미래가 다가옴을 암시하고 있었던 것이다. 조금씩 풍요에서 부족으로 바뀌어가는 에텔의 인생을 바라보면서 나는 그런 결핍과 간절함이야말로 그녀가 드디어 존재가치를 인식하게 되는 과정임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그것이 작가 르 클레지오가 말한 잊지 못할 허기의 한 구멍이었던 건 아니었을까?
자꾸 채워가려는 그 의지 속에서 마침내 발견하는 것이 삶의 목적이듯이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