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를 살리는 논어 한마디 - 거친 물결에 흔들리는 삶을 잡아줄 공자의 명쾌한 해답
판덩 지음, 이서연 옮김 / 미디어숲 / 2022년 5월
평점 :
하루 한 문장으로 현대인들의 아침을 명료하게 해주는 ‘나를 살리는 논어 한마디’. 논어가 최근에 새롭게 재해석되고, 현대인들에게 특히 젊은 세대에 새로운 가치관으로 다가왔다. 논어에 무엇이 담겼을까? 궁금증으로 이 책을 펼쳤다. 저자 판덩은 유가의 경전 논어에 대해 청소년시절에 그저 건성이었다고 한다. 난화이진 선생의 논어 강의책에서, 천하는 두 팔보다 가벼운데, 세상 사람들은 옥구슬 같은 것만을 중요시하는지, 이런 구절을 읽고 머릿속이 명징해졌다고 한다.
저자는 생활 속에서 느낀 불안과 두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논어 해설서를 모두 읽으면서 새로운 시선을 얻게 되었다고 한다. 공자를 생활 속에서 발견한 저자는 문제해결이 필요할 때마다, 논어를 통해서 해답을 얻었다. 논어에서 무엇을 보았기에 그는 삶의 길을 새롭게 수정하고 성공한 사람이 될 수 있었을까? 이 책은 논어 4,5,6편으로 공자와 제자들과의 일화가 담겨있다. 저자는 자신처럼 삶의 난관을 지혜롭게 헤쳐 나갈 수 있도록 독자에게 논어를 현대적 용어로 보다 쉽게 설명해준다.
리인(里仁)편: 어진 사람들에 의한, 어진 마음을 위한 / 공야장(公冶長)편: 어짊을 추구했던 공자의 뛰어난 제자들, 공문십철 / 옹야(雍也)편: 지나침도 없이, 모자람도 없이. 3편이다. 리인편에서 첫 주제어 ‘인위미’에 보면, 마음은 어질어야 아름답고, 어질지 않으면 지혜롭지 않다. 인자안인(仁者安仁)에서, 오직 어진 사람만이 누군가를 꽃으로 여겨 사랑을 심는다. 지자요수, 인자요산(知者樂水, 仁者樂山)에서 “지혜로운 사람의 즐거움은 물과 같고, 어진 사람의 즐거움은 산과 같다.” 눈여겨본 구절들에 모두 어짊이 들어있어서 논어의 핵심 단어 어짊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고 싶었다.
‘어짊’은 공자가 중요시하는 덕목으로 ‘사람을 사랑하고 다른 사람에게 관심을 두는 것이 어짊이다.’(p.307) 이 말의 뜻은 군자가 수행해야 하는 마음의 도리를 자비와 이타심에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제로 이 책에는 어짊, 중용, 효와 충에 대한 공자의 사상이 나온다. 2천년이라는 세월의 벽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가치관으로 현대인의 마음을 사로잡는 논어, 두고두고 음미하면서 깊은 사색과 안내를 받고 싶은 책이다.
나에게 도움이 되었던 논어의 구절은, 리인편에 ‘군자는 천하에 관해서 고집하는 것도 없고, 하지 말라 하는 것도 없으니, 의로움을 따를 뿐이다.’ 옳고 그름의 문제에서 나는 옳고 너는 틀렸다 이런 생각에서 벗어나 그 일에 대해 의로운 관점을 가지라고 공자는 말한다. 옹야편에서 ‘지나침도 모자람도 없이 가장 적정한 상태를 추구하라.’는 공자의 ‘중용의 덕이 지극하구나.’ 이 한마디가 마음에 울림이 컸다. 중도의 시선이야말로 가장 얻고 싶은 성숙한 마음으로, 공자의 가르침 논어를 자주 보면서 마음의 성장을 이루어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