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당의 표정
정민 엮고 지음 / 열림원 / 201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청룡

벽력같은 모습이다.

시위를 팽팽히 당긴 활, 목표물을 향해 쏜살같이 내리꽂히는 매.

용의 머리는 자꾸 다른 사물과 혼동을 일으킨다.

네 발을 힘차게 구르고 꼬리를 너울대며

나는 날마다 가서 박히리라.

질풍노도와 같이 그대의 가슴속으로 가서 박히리라..." (p83)

 

나는 정민 한양대 국문과 교수님께서 저술하시고 <열림원출판사>

에서 출간하신 이책 <와당의 표정>을 꼼꼼이 읽어나가다가 

글을 읽고 신선한 감흥을 느꼈다.

 

와~ 어떻게 청룡의 모습을 저렇게 다이나믹하게 역동적으로

마치 살아숨쉬는듯한 하늘에서 땅을 향해 쏜살같이 내려오는듯한

묘사를 할 수 있는지 감탄 또 감탄하였다.

 

정말 이 와당의 문양을 보면 역락없는 청룡의 모습이다.

그런데, 머리모습은 정말 <시위를 팽팽히 당긴 활, 목표물을 향해

쏜살같이 내리꽂히는 매>와도 같은 모습이었다.

 

물론 용은 상상의 동물이다.

그러기에 청룡도 마찬가지이다.

 

그런데, 용이란 동물은 동양에서는 너무나도 숭상되는

너무나도 지엄하신 존재이다.

 

특히, 중국과 우리나라에서 그러한 경향이 많은데 우리나라만해도

임금님과 관계되는 용어들은 다 용 龍 자가 들어가 있다.

 

즉, 임금님의 안면은 <용안>이라 부르고 임금님께서 앉아 계시는

의자는 <용상>이라 불리운다.

 

특히, 나의 이름에도 그 찬란하고 영광스런 <용 龍>가 들어가기에

나는 용을 무척 좋아하고 숭상한다.

 

그래서, 홍콩영화의 스타 이소룡과 성룡을 내가 무척 좋아하는

이유가 같은 <용 龍>가 들어가기 때문이기도 하다...^^*

 

아무튼 이책에 소개된 와당의 문양들중에서 나는 특히, 우리들과

친근한 동물들의 문양들에 더욱 관심이 갔다...^^*

 

그럼 표범은 또 어떻게 묘사했는지 무척 궁금해진다...

 

"표범 한마리가 활모양으로 몸을 젖히며

뒤편을 향해 으르렁댄다.

눈동자는 튀어오르고 한껏 벌린 입밖으로 혀를 날름거린다.

몸 위에 규칙적으로 박힌 굵은 점이

그 얼룩무늬를 강렬하게 전달한다..." (p111)

 

와~ 표범을 또 이렇게 사실적으로 마치 살아움직이는듯하게

묘사할 수 있단말인가!

 

나는 2천년전 중국인들이 이렇게나 멋지고 아름답게 동물문양들을

그려냈는지 감탄하게 되었고 또 정민교수님께서 사실적이고

재미있게 표현하신데 대해 엄지손가락을 추켜세워드리지않을 수

없었다...^^*

 

그렇다면 와당이란 무엇을 뜻하는지 알아보자! ...

즉, 와당이란 점토를 일정한 형태로 틀에서 뜬 다음 구워서 

지붕을 덮는데 사용하는 건축자재를 말하는 것으로 문양과

글자도 새겨넣어 예술작품으로까지 승화되기도한걸 통칭하는

용어이다...

 

그리하여 이책이 중국 고대 전국시대가 열리는 기원전 400년전부터

당나라때까지 1천년의 중국 와당들중에서 특별히 더 아름다운

것들만을 추려 한권의 책으로 엮으셨기에 이책의 읽기는 아주

뜻깊은 독서가 되었다.

 

즉, 이책은 중국 전국시대와 한나라때의 와당들중에 특별히

더 아름다운 것들만을 간추려 실은 책으로서 지금부터 대략

2천년전의 중국인들의 생각과 예술적 상상의 세계도

알 수 있게해준 참으로 좋은 책이었다.

 

그래서, 중국 고대의 와당의 문양과 글자들에 관심있으신

분들께서는 꼭한번 읽어보실 것을 권유드리고싶다...

 

지금도 생각나네...

 

<세마리학>의 와당문양을 제시해주시면서

저자께서 들려주셨던 다음의 말씀이...

 

"학 세마리가 꼬리에 꼬리를 물고 덜아간다.

씩씩한 네줄선으로 그은 날개, 끝이 말려올라간 꽁지깃.

가운데 돌출부에 얹은 발이 힘차다.

,한번의 도약을 위해 잔뜩 도사리고있구나..." (p13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