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명화와 함께 읽는 셰익스피어 20 - 4대비극, 5대희극 수록 ㅣ 현대지성 클래식 4
윌리엄 셰익스피어 원저, 찰스 램.메리 램 엮음, 김기찬 옮김, 존 에버렛 밀레이 외 그림 / 현대지성 / 2016년 1월
평점 :
햄릿 - 복수의 비극
리어왕 - 질투의 비극
맥베스 - 야심의 비극
오셀로 - 어리석음의 비극
나는 대문호 윌리엄 셰익스피어께서 저술하시고 <현대지성출판사>
에서 펴낸 이책 <명화와 함께 읽는 셰익스피어20>을 꼼꼼히 읽어
나가다가 문득 셰익스피어 4대비극이 갖는 비극의 의미를 한마디로
정의한 윗글이 생각났다.
그러고보니 어쩜 그작품들의 성격들을 이렇게 한마디로 잘정의해
놓으실 수 있었는지 감탄할뿐이었다.
이렇게 써놓고 보니 이작품등의 한장면 한장면들이 새록새록 다시
떠오르기도 하였다.
근데, 이 4대비극은 숱한 영화와 연극 등으로 리메이크되고있는
최고의 걸작들로서 그비극의 상징적 의미를 놓고보면 이세상
모든이들에게 사랑과 보살핌의 마음으로 관심을 갖고 대야겠다는
생각도 들었다. 그것은 이책을 읽음으로서 그러한 마음이 더욱
강렬해지게 되었다.
죽느냐 사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 <햄릿>,
지금이 가장 비참하다고 얘기할 수 있다면 아직은 가장 비참한 때가
아니다 - <리어왕>,
명예라는건 허무한 군더더기이다.
공로가 없어도 때로는 명예가 수중에 들어오지만,
죄를 안져도 명예가 사라질 수도 있기에. - <오셀로>,
어찌할 수 없는 일은 잊을 수 밖에 없다.
지나간 일은 이미 엎지러진 물이다 - <맥베스>,
이름이 무슨 의미를 가지고있단 말인가?
장미라고 불리는 저꽃의 이름이 어떻게 바뀌든 그향기는 변함이
없지않겠는가 - <로미오와 줄리엣>
나는 <현대지성출판사>에서 펴낸 이책 <명화와 함께 읽는
셰익스피어20>을 꼼꼼히 읽어나가다가 셰익스피어의 명작들중에서
특히더 생각나는 작품속 명언이 몇가지 있어 잠시 회고해보았다...^^*
참으로 셰익스피어의 비극, 희극, 사극 등의 작품들은 인류역사상
문학역사상 길이 남을 명작중의 명작들이라 생각된다.
그런 의미에서 <셰익스피어는 인도와도 바꿀 수가 없다>는 말씀의
의미가 충분히 이해가 되었다...
그의 작품들중에서 가장 완성도가 뛰어난 것으로 평가받는 4대 비극,
해학과 함께 인간이 추구해야 할 가치에 관해 성찰하게 되는
5대 희극, 그 외 널리 알려진 주요 작품 11편 등 20편의 주옥같은
명작들...
그 20편의 작품들이 존 에버렛 밀레이, 존 윌리엄 워터하우스 등
거장들의 명화 106장과 함께 424쪽에 달하는 이한권의 책에 실렸고
그 줄거리와 명화들이 한데 잘어우러져 실감있게 다가왔다...
따라서, 이책은 셰익스피어의 전작품 38편중에서 대표작 20편을
실었기에 이미 셰익스피어 작품들을 보신 분들께는 106점에
달하는 세계적인 명화들과함께 회고해보는 기회가 될 것이요,
아직 셰익스피어의 작품들을 안읽어보신 분들께는 입문서로서
최적의 책으로 생각되었다.
그래서, 셰익스피어 명작들을 책, 연극, 뮤지컬 등으로 다양하게
봐왔던 나로서도 이책이 셰익스피어의 명작들을 휠터링해볼 수 있는
아주 좋은 기회가 되었고 또 이책을 책꽂이에 놓고 수시로 보고
싶은 생각도 든 아주 훌륭한 책이었다.
셰익스피어의 작품들은 정말 최고의 명작들이고 연극, 영화로도
지금 이순간에도 지구상 어디에든지간에 상연, 상영되고 있다.
대학로에서도 <맥베스>, <말괄량이 길들이기> 등 셰익스피어의
작품들이 수시로 상연되고 있다.
어떤 소극장이름은 <셰익스피어극장>이라고 명명할 정도로 이렇게
연극계에서 셰익스피어의 존재가치는 특히더 지대하다고 생각된다.
글고 현대의 문화인들, 예술가들에게 무수한 영감과 모티브를 제공
했다고도하는데, <올드보이>, <박쥐>의 박찬욱감독은 <세익스피어의
4대비극>에 강렬한 인상을 받았으며 거기서 연출의 영감을 얻기도
했단다.
그런데, 나는 그중에서도 <햄릿>, <맥베스>, <오셀로> 등를
연극으로 넘넘 감동깊게 관람했던 기억도 난다.
<햄릿>은 세종문화회관에서 <오셀로>는 국립극장에서
<맥베스>는 대학로 게릴라소극장에서 봤던 기억이 난다...
관람장소까지도 생생하게 기억난다.
그작품들은 <내가 감명깊게 본 감동의 연극>들이기도하다...
셰익스피어의 4대비극중 최대걸작은 뭐니뭐니해도 <햄릿>이다...
로렌스 올리비에...
그는 영국의 유명한 영화 및 연극배우셨는데 영국에서 수여하는
저명한 연극상의 명칭도 <로렌스 올리비에상>이 있을 정도로
유명하신 분이시다.
그런 그가 1948년도에 감독,주연한 <햄릿>에서 연기를 기막히게
잘하셔서 그해 아카데미 남우주연상까지 수상하셨고 그작품도
역시 명화의 반열에 올랐다...
나는 이책에 실려있는 명화들을 보고 많은 감동을 느끼기도 하였다.
근데, 그중에서도 존 에버렛 밀레이화가가 1853년에 그린 <물에
빠진 오필리아>를 가장 강렬하게 남아있는 희곡 햄릿속 명화로
기억하고있다. 그러던차에 이책에서는 또 다른 작품들을 통해서
가슴을 울리는 느낌을 받았는데 토머스 로렌스가 그린 <햄릿>이라는
작품에선 왼손에 해골을 들고있는 햄릿의 모습이 강한 인상으로
다가왔다.
글고 에드윈 오스틴 애비가 그린 <왕과 왕비앞에서 펼친 연극>,
존 시몬즈가 그린 <햄릿은 자기의 종국이 다가옴을 알고 숙부에게로
달려들었다>란 작품들이 강한 느낌으로 다가왔다...
하여간에 이책은 그전에 읽었거나 연극으로도 관람했던 셰익스피어의
작품들을 명화들과함께 다시금 실감나게 회고해본 아주 좋은 기회를
준 책이었다.
그리하여 이책은 아직 셰익스피어작품들을 접하지못하신 분들께는
입문용으로 셰익스피어작품들을 읽어보신 분들께는 명화들과함께
회고해볼 수 있는 책이라고 생각되었다.
지금도 들리는듯하다...
마녀의 첫번째 예언이 적중되면서 크나큰 욕망에 마음이 휘둘리게된
맥베스가 일찌감치 거사를 꿈구며 했던 다음의 독백이...
"눈에 보이는 무서운 것 따위는 마음에 그려지는 무서운 것에
비한다면 아무 것도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