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력의 언어 - 주도권 게임에서 어떻게 승리할 것인가
마티아스 뇔케 지음, 장혜경 옮김 / 갈매나무 / 2013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서비스강사직은 이제 레드오션이 되었다.

진입장벽이 낮으니 너도 나도 뛰어들 수 있고 그속에서 치열한 각축전을

벌여야하고 그런 곳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사람은 얼마 안된다는 것입니다.

속칭 입하나로만 밥먹고 산다는 이런 분들의 세계도 이렇게 경쟁이 치열하고 힘든데 일반인들이 직장생활속에서 대화하고 토론하고 프레젠테이션하고 연설하는데 있어 프로처럼 능수능란하게 말하기는 쉽지않은 것이다.

바로 자기자신이 생각하고 느끼는 바를 말로 조리있게 표현해낼 수 있는가

그게 바로 쉬운듯하면서도 어려운 일인 것이다.

 

우리네 속담에도 <말한마디로 천냥빚을 갚는다>,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라는 속담들이 있다.

이속담들을 통해 말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말한마디하는게 얼마나 신중해야하고 조심해야하는 것인지 알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독일의 기자이며 자기계발전문저자인 마티아스 뇔케의 역저인 <권력의 언어> 넘넘 잘읽었다...

이책을 읽고나니 어떻게 하면 말로써 상대방을 내편으로 만들 수 있는지

그노하우와 화술테크닉을 익힐 수 있었다.

 

특히, 나는 상대방과 대화를 하거나 사람들앞에서 말을 할때 <우리>라는 단어를 자주 쓰라는 조언에 크게 공감되었다.

상대방을 자신의 조직원들을 내편으로 우리편으로 만드는 동질감을 일으킬

의미있는 단어가 <우리>가 아닌가 생각된다.

물론 이책에서는 <우리>를 넘 남발하는 사람을 다루는 법도 이야기했다.

즉, 상대는 우리집단이 아니라 우리와 다른 사람이라며 버락 오바마대통령의 정적들이 사용하는 방법이듯 권모술수가 난무하는 정치집단에서나 있을 확률이 높고 또 그집단내에서 내편이 많을때 지원군을 많이 확보했을때라는 전제조건이 있을때만 가능하기에 그것은 제한되 있는 것이다.

일상대화에서 <우리>를 강조하고 집단의식을 고양시키는 화술은 참 필요하며 이는 조그마한 팀을 이끌어나갈때는 물론 더큰 공동체를 이끌고 나갈때도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단순한 메시지를 반복하라, 개념으로 상대를 제압하라와 같은 조언도 넘 공감되는 이야기들이었다.

 

결론적으로 이책은 어떤 팀이나 공동체를 이끌어나가는 분들은 물론 사회생활이나 직장생활속에서 상대방을 내편으로 만들고 나의 의도대로 이끌어나가기를 희망하는 분들이 읽어볼만한 책이라고 생각된다.

 

주도권을 잡아라!

그것은 인생을 사는데 있어 대인관계에서 성공하는 하나의 발판을 구축할 수 있다고 생각되기에 그런 면에서 <권력의 언어>는 필요한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