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줄기세포와 생명 복제기술, 무엇이 문제일까? - 희귀난치병 치료술의 희망, 줄기세포 연구에 남은 과제 ㅣ 10대가 꼭 읽어야 할 사회·과학교양 13
황신영 지음 / 동아엠앤비 / 2022년 5월
평점 :
"2017년 현재 전 세계적으로 약 3만건이 넘는 줄기세포를 이용한 임상시험들이 진행중이라고 한다. 심장관련 연구가 가장 많이 진행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를 비롯한 고령화 시대에 접어들고 있는 나라에서는 노인성 질병에 대한 치료에 줄기세포를 적용하는 임상연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85쪽)"
나는 황신영님께서 저술하시고 <(주)동아엠앤비>에서 출간하신 이책 <줄기세포와 생명복제기술 무엇이 문제일까?>를 읽다가 윗글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와~ 전세계적으로도 줄기세포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구나 우리나라에서도 임상연구가 활발하구나 바로 그걸 느꼈고 이에 좋은 소식들이 계속 들려오길 기대도 하게되었다.
글고 이책의 저자이신 황신영님께서는 이화여대 과학교육과를 졸업하고, 박사학위도 받은후 현재 이화여대 사범대학부설 영재교육원에서 근무하며 후학들을 가르치고 있다.
그리하여 이책에서는 세포에서부터 사람의 성장과 노화까지, 줄기세포의 명과 암, 줄기세포로 할 수 있는 일, 복제인간의 현실 가능성, 줄기세포 복제연구와 생명윤리 등 총 5부 208쪽에 걸쳐 줄기세포의 현재까지의 연구과정과 그성과 글고 미래전망까지 사진, 삽화 등도 곁들여 알기쉽게 잘설명해주시고있다.
줄기세포...
예전 2000년대 중반에 우리나라에서 줄기세포는 난치병을 고치는 신비의 명약같이 각광받았던 때가 있었다.
그래서, 세계적인 의학 학술지인 <네이처>지에서도 뜨거운 이슈로 떠오르곤 했다.
그러나, 뜻하지않은 황우석 파동을 겪으며, 줄기세포의 열기는 급속도로 식어갔다.
그러던차에 이책과의 만남은 정말 새로왔다.
요즘의 줄기세포 연구 현황과 미래전망이 어떠할지 궁금했는데 정말 이책 흥미진진하게 읽었다.
뇌졸중
치매
파킨슨병
간질
심장병
척수신경 손상 질병
당뇨병
동맥경화증
퇴행성 관절염
백혈병
빈혈
근육위축증
뼈이식해야하는 모든 질병
화상에 의한 피부이식
위 질병들은 줄기세포로 치료가능한 질병들이다.
아~ 정말 줄기세포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해져 위 질병들을 다 완전히 치료할 수 있는 날들이 속히 다가오길 기원도 하게되었다.
글고 나는 이책을 통해서 알게된 사실들중 우리나라의 줄기세포 & 재생의료 기술수준이 세계 10위권이나 된다는 사실에 깜짝 놀랐다.
또한, 2021년을 기준으로 최고의 기술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되는 미국 대비 85% 수준의 기술력을 갖추고있다니 정말 의외였고 한편으로는 자부심도 느껴졌다.
앞으로도 우리나라가 세계 줄기세포 연구의 선두주자로서 앞장서주길 기대도 하게되었다.
그래서, 나는 이책 아주 잘읽었고 이에 나에게도 뜻깊은 독서가 되었다.
그런 의미에서 이책은 희귀난치병치료술의 희망인 줄기세포연구와 생명복제기술에 대해 알고싶어하시는분들께서는 놓치지않고 꼭읽어보시길 권유드리고싶다.
줄기세포와 생명복제기술...
이는 우리 인류가 언제나 꾸준히 연구개발하여 건강하게 살아가는데 초석이 되야할 것이다.
지금도 생각나네...
줄기세포은행이 활성화되어 전세계의 줄기세포들이 모이게되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게되는지 소개해주신 다음의 말씀이...
"줄기세포은행이 활성화되면 치매, 파킨슨병, 당뇨병, 암 등 여러가지 질병의 치료법을 찾아내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현재의 골수은행과 같은 역할도 할 수 있다.
전 세계 사람들의 줄기세포를 보관하고 있다가, 환자에게 맞는 줄기세포를 이용해 치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3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