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 위기 동식물, 무엇이 문제일까? - 인간 때문에 지구에서 자취를 감춘 동식물들 10대가 꼭 읽어야 할 사회·과학교양 8
이억주 지음 / 동아엠앤비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강치 또는 독도강치라고 부르는 바다사자는 비교적 최근인  2011년 우리나라에서 멸종된 것으로 보고되었다.(113쪽)"

나는 이억주님께서 저술하시고 <(주)동아엠앤비>
에서 출간하신 이책  <멸종위기동식물 무엇이 문제일까?>를 읽다가 윗글에 깊은 충격을 받았다.

아니 우리 영토인 독도에서 살고있다고 예전부터 듣고있어서 독도를 지키고있는 수호신이라 생각되는 독도강치가 멸종되었다니...

정말 이책을 통해 독도강치 멸종소식에 슬픔을 가눌 수 없었다.

독도강치가 멸종된지 벌써 만 10년이나 되었다니...

마치 나의 가장 친한 친구가 내곁을 떠난 것같은 슬픔과 안타까움이 동시에 생겼다.

글고 이책의 저자이신 이억주님께서는 월간 과학소년 편집장, 격주간 어린이 과학동아 초대 편집장을 역임했다.
늘 개천을 산책하며, 새, 물고기, 곤충 등을 관찰하면서 이들이 언제까지나 우리 곁에 있어주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이책을 쓰기로 하셨다고 한다.

그리하여 이책에서는 멸종과 멸종위기종이란?, 우리나라의 멸종위기 야생동물 현황, 세계의 멸종위기 야생동물 현황, 생물은 왜 멸종할까?, 멸종을 막으려면? 등 총 5부 204쪽에 걸쳐 멸종됐거나 멸종위기의 동식물들은 무엇이고 더이상의 멸종을 막기위해서는 인류가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하는지 알기쉽게 잘설명해주시고있다.

나는 특히 전지구상에 우리나라에서만 발견된 크낙새가 1990년대이후 관찰기록이 없어 멸종한 걸로 본다는 글에도 안타깝기만 했다.

정말 예전에 시골의 논두렁주변만 가도 개구리 울음소리들은 손쉽게 자주 들었었다.

그러나, 지금은 개구리 울음소리들은 쉽게 들을 수 없다.

어렸을때는 풍뎅이, 메뚜기, 방아개비, 땅강아지들도 자주 봤었는데 지금은 정말 찾아보기 어려워졌다.

그리하여 나는 이책을 읽으면서 아니 이 동물들은 벌써 멸종됐어라며 놀랐던게 한두번이 아니었다.

그리하여, 우리나라는 2021년 기준 267종의 생물종이 멸종위기에 처해있다는데 충격을 받았다.

또한, 우리나라의 식물들중에서도 멸종이 122종, 야생멸종이 42종, 위급이 4,674종이나 된다는데 놀라움을 금치못했다.

이에 정말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지구상의 인류들이 동식물 보호에 만전을 기해야겠다고 생각되었다.

지난 50년동안 세계 동물의 68%가 사라졌다니 애통한 마음만 들뿐이었다.

그리하여 나는 이억주님께서 저술하시고 <(주)동아엠앤비>에서 출간하신 이책 아주 잘읽었고 이에 나에게도 뜻깊은 독서가 되었다.

그런 의미에서 이책은 멸종위기 동식물이 어떤게 있고 이들을 어떻게 보호해나갈지 알고싶어하시는 분들께서는 놓치지않고 꼭읽어보시길 권유드리고싶다.

지금도 생각나네...
야생동물들과 함께 영원히 공존하기위해서는 인간들의 어떤 역할이 필요한지 설명해주신 다음의 말씀이...

"야생동물들이 개체수가 줄거나 멸종하는 데는 인간들의 영향이 크다. 야생동물들의 입장에서 볼때 인간들이 오히려 생태계 교란동물일 수 있다. 인간들의 교란이 없다면 야생동물들은 나름대로 생태계 균형을 위해 먹이사슬과 먹이그물을 유지하며 살아갈 것이다. (203쪽)"

#멸종위기동식물무엇이문제일까 #이억주 #동아엠앤비
#청소년과학 #자연과학 #멸종위기동식물
#문화충전 #서평리뷰단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읽고 후기 정성껏 써올립니다. 근데, 중학교시절에 도서부장도 2년간 하고 고교 도서반 동아리활동도 하는 등 어려서부터 책읽기를 엄청 좋아하는 독서매니아로서 이책도 느낀그대로 솔직하게 써올려드렸음을 알려드립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