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시 - 내 것이 아닌 아이
애슐리 오드레인 지음, 박현주 옮김 / 인플루엔셜(주)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사이코패스'나 '소시오패스'에 관한 책들이 많은데요..

그런데 그런 '사이코패스'들을 보면, 대부분 어린시절 '아동학대'나 '성폭력'을 당한 경우가 많습니다.

어린시절 '아이'들이 자신이 '감당'할수 없는 '고통'을 당하다보면..

'공감능력'을 잃어버리거나, '다중인격'이 되어버린다고...하는데 말입니다.


그렇지만..'현실'에서는 '좋은 부모'밑에서도 이런 '아이'가 생기기도 하는데요.

'도리스 레싱'의 '다섯번째 아이'와 '라이오넬 슈라이버'의 '케빈에 대하여'가 그런 경우지요.

그래서 아무 이유없는데...태어난 '존재'에 대해 혼란스러워하는 '이야기'들이 나오는데요..


'푸시'도 비슷하다 할수는 있습니다..


소설의 시작은 한 '여인'이 그림같은 '가족'의 모습을 엿보는 장면입니다..

부부와 그들의 남매, '여인'은 그아이들중 '소녀'를 발견하고 손을 흔드는데요

그리고 '여인'의 옆에는 그녀가 쓴 '글'이 있는데요..

'여인'은 '남자'에게 자신이 쓴 '글'을 전달하려 왔습니다.


'여인'의 이름은 '블라이스'

'남자'의 전 아내이며, '소녀'의 어머니이기도 합니다.


'블라이스'는 어린시절 어머니 '세실리아'가 그녀를 버렸고

그 일이 큰 '상처'가 되었는데요..

'남자', '폭스'를 만난 그녀는 '사랑'에 빠지고..

'소녀'인 '바이올렛'을 낳자, '세실리아'와 달리 '좋은 엄마'가 되려고 합니다


그러나 결코 쉽지가 않았는데요..

'바이올렛'은 어린시절 부터 이상한 '행동'을 보이고

'블라이스'는 '바이올렛'을 걱정하지만..

'폭스'와 다른 사람들은 그냥 '아이'일뿐이라고 넘어갑니다.


'블라이스'는 '바이올렛'에게 벗어나기 위해 둘째를 원하고.

둘째 '샘'을 낳자말자, 

그녀에게 다시 '행복'이 찾아오는것 같은데요..


그러나 다시 '바이올렛'은 '말썽'을 부리기 시작하고

'블라이스'는 '바이올렛'이 '샘'을 죽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합니다

'폭스'는 당연히 그녀의 '망상'이라고 생각하지만...

'가족'이 '동물원'에 간날 '비극적인 사건'은 터지고 마는데요.


제목인 '푸시'는 두가지 의미라고 합니다..

'출산'을 나타내는 '푸시'의 의미와..

'동물원'에서 생겼던 '비극'적인 사건의 '푸시'라는 의미..


'바이올렛'의 모습은 섬뜩합니다.

'소시오패스'들이 그렇겠지만,

'아이'라고 하기엔..벌써부터 저러니.

나중에 커서는 그녀의 '미모'를 '무기'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을 해칠까..ㅠㅠ


마지막 결말을 보면 왠지 예상이 맞을듯 합니다..


이 소설은 '바이올렛'을 낳은후 그녀로 인해 '혼란'을 겪는 '블라이스'의 이야기를 다루지만..

한편 이 모든 이야기가 '블라이스'의 '입장'에서 말하는 '이야기'라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니 진실은 다를수도 있다는 것...)


그냥 '블라이스'의 '이야기'만 소설에서 등장한다면..

위에 말한 '케빈에 대하여'랑 '다섯번째 아이'와 같은 '내용'이라고 생각하겠지만...


소설에서는 중간중간 '블라이스'의 어머니 '세실리아'가 

할머니 '예티'에게 '정서적인 학대'를 받는 장면이 나오거든요

결국 '세실리아'는 어머니에게 받은 '정서적인 학대'를 '블라이스'에게도 행했고

'블라이스'역시 자기 딸 '바이올렛'을 진심으로 '사랑'할수 없게 되었으니까요


결국 '블라이스'도 역시 '바이올렛'을 '정서적인 학대'했을 '정황'들도 나오고 말입니다.

한시간 반동안 애가 우는데도 가보지 않는다면...

애가 어떻게 될까 말입니다...


그래서 '푸시: 내것이 아닌 아이'는 두가지 관점에서 볼수 있다는 것도 매력이 아닌가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