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시간의 한국사 여행 1 - 도전과 응전, 새 길을 열다, 선사 시대에서 고려까지 36시간의 한국사 여행 1
김정남 지음 / 노느매기 / 2015년 8월
평점 :
품절


 

 

 

 

 

 

나는 예전에도 그랬고 현재도 그렇지만 역사에 관심이 많다.


요즘 들어 사극도 많이 보고 역사책도 몇 권 읽었다.


하지만 이제야 역사를 조금씩 알아가고 있다.


나의 학창시절을 되돌아보면 국사는 점수를 얻기 쉬운 전략과목이면서 암기 과목이었다.


수학과 영어를 못했던 나는 평균점수를 올리기 위해 이해가 필요 없는 암기과목들에 많은 시간을 투자했다.


말 그대로 전 후 상황도 모르는 채 단순 암기만 한 것이다.


그러다 보니 시험이 끝나면 바로 잃어버리고 성인이 된 지금도 단순히 국사에 나오는 유적이나 사건에 이름은 알지만 그런 것에 얽힌 내용이라 던지 그 사건의 원인 같은 내용은 잘 알지 못해 부끄러웠다.


그런 가운데 <36시간의 한국사 여행1>이라는 책을 만나 읽게 되었다.


이 책의 저자는 현직 교사이다.


일방적 강의식 수업에서 TV의 역사 관련 다큐멘터리, 스페셜 등을 수업목적에 맞게 재편집해 교육에 활용하고 직접 역사 교육용 콘텐츠를 제작하여 상도 받았으며

서울특별시 교육연구정보원에서 주관하는 학교 단위 수업방법 개선팀 연구 활동을 통해 우수사례로 선정되기도 하였다고 한다.


그래서 인지 학습자나 독자를 위한 배려가 잘 되어 있다.

 

[그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Australo-남쪽, Pithecus-원숭이: 남방의 원숭이라는 뜻),

 

 작은 키에 작은 뇌를 가졌으며 직립보행(곧을 직, 설 립, 걸을 보, 갈 행)을 하고 간단한 도구를 사용했다.

 

 특히, 에티오피아에서 발굴된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는 일명 루시로 불리는 여성이다.

 

루시는 오스트랄피테쿠스 종의 조상으로 여겨지며, 발굴 당시 비틀즈의 노래인

‘Lucy in the sky with diamond'가 라디오에서 흘러나와 붙여진 이름이기도 하다.] P.14 8~ P.15 3

 

위에서 보듯 외국어 단어에 뜻을 달고 왜 그랬는지 배경지식을 풀어써 줌으로써

독자가 쉽게 이해하고 읽을 수 있게 되어있다.


역사책이라고 한다면 자신의 주관이나 관점이 들어가기 마련 일 것이다.


하지만 이 책은 어느 하나의 입장에 치우치지 않고 공평한 시각을 유지한 채 작성이 되어 있다.


저자도 사람인지라 개인적 판단이나 주관이 안들어 갈 수는 없었을 것이다.


개인적 판단이나 주관이 들어가는 부분에서는 토론거리로 남겨 두었다.


전체적으로 책의 내용은 깔끔한 편이다. 고대의 구석기, 신석기, 청동기, 철기, 군장국가와 고조선, 삼국시대와 고려시대까지 서술하고 있다.


각 시기마다 유물과 사회적 배경을 다양한 사례를 들어 설명하고 있고, 사진, 그림, 지도 등이 풍부하게 첨부하여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 있었다.


마치 국사 개인교습을 받은 듯 한 느낌이 들었다.


실제로 역사 교과서로 사용해도 될 정도로 편집이나 구성이 깔끔하게 정리된 편이었다.


국사에 대한 기본 교재, 입문 교재로 활용하면 좋을 것 같았다.


이 책은 총 3권으로 구성 되어 있다.


1권은 선사시대 ~ 고려, 2권은 조선, 3권은 개항이후 ~ 현대사회 로 구성되어있다.


1권만 읽어 봤지만 배경지식이라던가 단어에 뜻을 알게 되고

 역사에 대한 흥미를 갖게 해주어 개인적인 만족도가 크다.


얼른 2, 3권도 읽어 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