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매의 심리 - 박병창의 돈을 부르는
박병창 지음 / 포레스트북스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식 책들을 읽다보면 심리가 중요하다고 한다.


심리와 주식이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궁금했는데 저자인 박병창님이 책을 내셨다는 소식을 접했다.


박병창님의 전작들을 흥미롭게 읽은 적이 있어서 구입하여 읽게 되었다.


우리는 장기 투자, 단기 트레이딩, 가치주 투자, 퀀트 투자 등 모두들 저마다 다른 방식으로 주식투자를 하고 있지만 목적은 모두 같다. 바로 좋은 주식을 싸게 사서 비싸게 파는 것이다


주식 투자는 사람들이 모여서 자신들의 판단에 따라 주식을 사거나 파는 행위다


당연히 투자자들의 심리가 돈의 흐름을 만들 것이며, 가격을 움직이게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똑같은 금액이라고 해도 어떤 사람은 매도하고, 어떤 사람은 그 주식을 매수한다.


즉 주가 그 자체가 사람들의 심리라는 뜻이다


따라서 주식 투자에 있어서 심리적인 부분을 짚고 넘어가는 것은 탁월한 투자 전략을 습득하는 것보다 훨씬 중요하고 근본적인 문제다


주식 시장의 진짜 보이지 않는 손은 투자자들의 심리인 것이다.

 

그때 주식 투자를 왜 했을까? 다시 돌아 갈 수만 있다면 하지 않을 텐데’, ‘주식 투자를 너무 만만히 본 것 같다. 이렇게 어려울 줄 몰랐다라는 얘기를 많이 듣게 된다.


비이성적 가격 급등엔 추격하지 말라는 당연한 상식을 알고 있음에도 늘 뒤늦게 되새기게 된다.


왜 우리는 상식에도 맞지 않는 행동을 했을까?’, ‘주식 투자는 왜 이렇게 뜻대로 안 될까?’

사실은 주식 투자이론을 몰라서, 기업 분석을 못해서, 차트 분석이 틀려서, 투자 전략이 잘못되어서가 아니다.


마음의 문제이다.


군중이 집단적으로 한 방향을 향할 때 그 무리로부터 벗어나지 못하는 보수적인 심리, 매수할 때의 욕심과 두려움, 매도할 때의 손실 회피와 현실 부정 같은 심리가 잘못된 투자를 하게 만든다.

 

주가 판단의 주요 요인 중에는 심리가 있다.


투자자들의 집단인 군중이 미래의 시장을 어떻게 판단하느냐에 따른 집단 심리, ‘탐욕에 치우쳐 있을 때또는 공포에 치우쳐 있을 때의 심리, ‘호재에 민감할 때악재에 민감할 때의 심리.

주식을 더 높은 가격에라도 매수하려고 열광한다든지 더 낮은 가격에라도 서둘러 매도하려는 공포인지 등의 심리가 주가를 움직인다.


주식 투자는 사람들이 모여서 각자의 서로 다른 판단에 따라 주식을 사거나 파는 행위이다.


당연히 투자자들의 심리가 돈의 흐름을 만들 것이며, 가격을 움직이게 한다.


실전 투자에서는 이론과 달리 매매의 심리, 투자 판단의 심리가 성공과 실패를 좌우한다.


심리는 자금 관리와 투자 전략을 연결하는 고리가 되기 때문이다.


인간은 기본적으로 합리적이며 돈에 대해 효율적으로 행동한다는 전통적 경제학 이론은 주식 시장에서는 맞지 않는 경우가 많다.


우리는 주가가 급등하기 직전에 주식을 팔아버리거나, 주가가 완전히 폭락할 때까지 가망도 없는 주식을 보유하는 경우가 많다.


주식 투자를 하면서 불합리하고 일관성도 결여된 결정을 반복하는 이유는 결국 우리의 심리 때문이다.


역사적으로 미리 짜여진 거대한 힘이 작용했던 주식 시장에서 진짜 큰돈을 번 사람들은 소수의 특별한 생각을 가신 사람들이었다


그들은 우리가 추종하는 애널리스트도, 유능한 트레이더도 아니었다.


자신만의 투자 원칙을 만들어 내고, 그것을 지킨 사람들이었다.


어떤 이는 장기 투자가, 어떤 이는 단기 트레이딩이 편안하고 수익을 내기 쉬울 수 있다.


각자 가장 편한 심리로 투자할 수 있는 자신의 길을 만들어 가는 것이 중요하다.


자신의 길을 시장에서는 자신의 투자 원칙이라고 한다.


자신의 성향에 맞는 투자법을 찾고 또 주식 투자를 하는 마음의 원칙을 찾아 우리 모두 성공적인 투자를 하였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