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라면 정조처럼 - 정조대왕의 숨겨진 리더십 코드 5049
김준혁 지음 / 더봄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시대 왕 중 존경하는 왕 하면 나를 비롯한 대부분의 사람들이 조선 전기 세종, 조선 후기 정조 일 것이다.


위 두 왕 중 나는 드라마 ‘이산’ 과 영화 ‘역린’으로 잘 알려진 정조를 좋아한다.


정조에 대한 호기심에 이 책을 읽게 되었다.


이 책은 정조의 생애와 국가 지도자로서의 리더십을 49가지로 정리해 제시하고 있다.


정조는 아버지 사도세자의 죽음 이후 자신에 대한 반대세력의 온갖 음모와 폐출 위기를 겪었고, 국왕이 된 이후에도 숱한 죽음의 위기를 맞이하였다.


그럼에도 정조가 당대 개혁군주로서 한 시대를 이끌고 현재 까지 우리 역사상 최고의 지도자로 인정받는 것은 그만의 특별한 리더십과 정치적 기술이 있었기 때문이다.


첫째, 아무리 사소한 행동이라도 군주의 사적 행위는 곧 공적 행위 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정조는 말과 행동에 있어 매우 신중하고 늘 근엄을 잃지 않았다.


정조는 신료들에게 사적인 일로부터 시작하지만 반드시 공적인 것으로 연결되도록 강조했고, 윗사람은 덜 가져가도 아랫사람에게 더 많은 이익이 돌아가야 한다고 했다.


공적인 일을 하면서 사적인 이익을 취하는 사람들, 그리고 이익을 얻었을 때 함께한 이들에게 고른 분배를 하지 않고 독식하려는 사람들이 있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둘째, 소통을 중요시 했으며 신하들과 함께 국정을 운영하였다.


국왕으로서 사적인 이익을 철저히 배제하고 오로지 공적인 이익만을 추구하며, 누구보다 따스하면서도 친인척과 측근들의 잘못에는 추상같이 다스리는 위엄을 보여 주었다.


셋째, 군주로서 엄청난 양의 정무를 보면서도 학문과 신체 단련도 충실히 했다.


넷째, 불교와 도교, 서학을 이단으로 규정하고 무조건 배척하던 시절 조선 역사상 최고의 유학자 군주인 정조가 다른 사상과 종교를 인정했다.


 그러한 정조의 높은 정신은 보다 높은 단계의 실학으로 발전했다.


다섯째, 길을 나서서는 백성들의 억울함을 들어주고 스스로 공부한 의학지식을 가난한 백성들을 위해 사용하며, 외세의 침입을 막고 강력한 군사력을 키우기 위해 스스로 병법과 무예를 익혔다.


이러한 솔선수범과 소통의 리더십은 관료와 양반사대부 그리고 백성들을 감동시켜 우리 역사상 가장 위대한 진경문화의 시대를 만들어 냈다.


이 책에서 기억에 남는 부분은 끊임없이 책 읽고, 공부하고, 체력 단련을 한 부분이 기억에 남는다.


정조는 책 읽기를 선천적으로 좋아했다.


그의 독서법은


1. 책을 두 번씩 읽기

2. 미리 계획을 세워서 읽기

3. 한 권을 정밀하고 치밀하게 읽기

4. 기록하기


등으로 정리 할 수 있을거 같다.


정조는 끊임없이 책 읽기와 공부를 하였는데 그 이유는 자신의 정통성이 약했기 때문에 정통성을 세우기 위해 신하들 보다 학문적으로 우위에 있어야겠다고 생각했다.


조선 시대 관료들은 모두 사대부 출신이다.


조선 시대 과거를 보기위해 경전 공부를 하지 않고서는 과거시험 답안을 쓸 수 없었다.


과거시험이 국가 정책을 제시하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답안지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경전에 있는 성현의 온갖 말씀을 인용하면서 자식의 생각을 정리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조선시대 사대부들은 학자일 수밖에 없었다.


스스로 학문 연구를 즐겨했던 정조였기에 당대에 기라성 같은 학자들을 제압하는 것은 어렵지 않았다.


또 정조는 공부도 많이 했지만 신체단련을 위한 운동도 중요시 했다.


정조가 가장 많이 한 신체단련은 단연코 활쏘기 였다.


정조는 조선 역사상 매우 특별한 신궁 이었다.


그가 활을 50발 쏘면 49발을 과녁에 명중시키고 마지막 한 발은 과녁에 쏘지 않고 허공에 날렸다고 한다.


초정 박제가는 그의 문집에서 정조가 50발 중 49발을 쏜 것은 겸양하기 위함이라고 하였다.


즉, 50발을 명중시킬 수 있으나 스스로 겸손하기 위해 마지막 한 발을 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는 주역에 통달했던 정조의 깊은 뜻이 숨어 있다.


주역 점을 칠 때는 보통 시초라고 하는 50개의 산가지를 사용하는데, 그중 1개는 태극을 상징해 사용하지 않고 49개의 산가지만 가지고 주역 점괘를 뽑는다. 그리고 그 점괘를 통해 세상의 이치와 변화의 숨은 뜻을 찾아낸다.


정조는 여기에 착안해 50개의 화살을 들고 다녔고, 마지막 1발의 화살을 제왕의 산가지로 여겨 아예 사용하지 않은 것이다.


정조는 활쏘기를 본격적으로 하기 전 검술과 창술도 함께 연마했다.


기초적인 체력 훈련을 지속적으로 한 것이다.


정조가 이처럼 검술, 창술, 활쏘기 훈련을 집중적으로 한 것은 사도세자의 영향도 있다고 본다.


사도세자는 무예광 이었으며 무예 고수 였다.


정조의 리더십은 봉건왕조 시대에 통용됐던 군주로서의 리더십이 아니라 오늘날 모든 분야에 적용 될 수 있는 리더십이라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