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 준열의 시대 - 박인환 全시집
박인환 지음, 민윤기 엮음, 이충재 해설 / 스타북스 / 2016년 3월
평점 :
품절


박인환 全시집 검은 준열峻烈의 시대

 

 

2016년은 박인환선생님의 작고 60주년을 맞이하는 해이다.

이 책은 60주기를 기념해 새롭게 발굴한 2편의 시를 포함해 그가 생전에 남긴 시들을 총망라한 전집이다.

 「세월이 가면」 「목마와 숙녀」만으로 알려진 박인환선생님의 시 읽기를 더욱 풍부하고 깊게 해 줄 것이다.


 

 

이 책 속 시는 발표순으로 작품을 기계적으로 배열하지 않았고, 주제를 기준으로 시들을 구성되어있었다.

  1부에서는 사회 문제에 관심을 가졌던 시를 볼 수 있다.

 5부에서는 고향과 서정적인 느낌의 시로 구성되어 있다.
박인환선생님의 시에서는 회의, 아픔, 문명을 향한 비판, 고향에 대한 애정을 볼 수 있다.

그 시대를 짐작게 해주는 박인환 선생님의 시로 그 순간을 짐작해 본다..

 

 

 

​박인환 선생님의 시인은 이상 추모제에서 술을 마시고 심장마비로 죽는다.

30살이라는 젊은 나이로 생을 마감했기에  이력은 짧을 수 있지만 그가 미친 영향은 크다 할 수 있다,

 

이 책은 박인환 선생님의 시를 깊이 알아가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만들어 졌다..

그렇기에 박인환 선생님의 발자취를 찾아본다..

 

박인환 선생님의 삶의 흔적이 남아 있는 곳

박인환 선생님의 생가가 있던 곳이나, 생가를 찾는 길에 대한 설명, 그의 학창 시절 이야기

박인환 선생님의 문학기행을 보는 듯한 느낌이다..

박인환 선생님하면 종로에 헌책방 마리서가를 빼놓을 수 없다..

여러 시인의 삶을 출발하게 했고, 박인환 선생님은 반려자 이정숙님을 만나기도 했으며, 시인들의 사랑방 역할을 했던 곳..

하지만 어려운 실정에 1년이 조금 지나 문을 닫게 되었던 곳이다..

출세작이자 동시에 저평가받는 데 일조한 시 세월이 가면 의 탄생 장소인 명동, 은성 주점도 소개고 있고.

박인환 선생님의  고향인 인제에 있는 박인환 문학관,

 

그의 묘소가 있는 망우리 공원 등 그의 삶을 따라가면서 박인환을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을 곳을 책에 실었다.


 이 책은 새롭게 발굴한 시 2편을 포함해 박인환 시 전집으로 박인환 작품을 정리하고 있다.

그 당시 혼란한 사회에 각성의 목소리를 낸 지식인의 목소리에 우리는 한 번 더 마음을 열어보면 좋을 것 같다.

박인환 선생님의 시에서는 당시 누구에게나 가난하고 힘들었을 피난생황에서에 힘든 상황을 짐작하게 하고,

이를 넘기고자 하는 의지와 저항의식은 시 곳곳에 나타나 있음을 우리는 느낀다.

 
 

많은 시인들은 그들이 시의 어느 것이 노래로 유행 하는 것을 모르는 것 처럼

 소월 선생님이 그의 시가 노래로 유행할 것을 모르고 죽은 것처럼

박인환 선생님도 세월이 가면이 그토록 널리 애창되리라고 미처 알지 못했을 것이다..

 

나뭇잎은 떨어지고/나뭇잎은 흙이 되고 나무 잎에 덮여 / 우리의 사랑이 사라진다 해도 /

지금 그 사람의 이름은 잊었으나 / 그의 눈동자 입술은 / 내 가슴에 있네 /  내 서늘한 가슴에 있건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