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리화가 - 1867년, 조선 최초 여류 소리꾼 이야기
임이슬 지음, 이종필.김아영 각본 / 고즈넉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867년, 조선 최초 여류 소리꾼 이야기  

도리화가 

1867년, 조선 최초 여류 소리꾼 이야기
영화 <도리화가>의 소설

 


얼마전 영화로도 개봉되었다.. 하지만 영화평이 생각보다 높지 않아 의문이 들었다..

영화에  주인공인 수지에 역활 진채선 정말 관심가는 부분이다.


시대는 조선 고종 때 지은 짧은 소리의 하나였던 신재효가 지었다고 전해진다는데

 그의 후손 신기업이  소장하고 있다가 필사본으로 나왔다라는 이야기이다.

책 속에 등장하는 복숭아꽃과 오얏꽃이 봄을 알려주는 부분이 있다.

아마도 채선이를 말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하다.

스승 신재효가 제자 진채선을 그리워 하면서...그 그리움을 담은 노래

소리가 등장하는 영화는 제일 먼저 생각나게 하는 것이 서편제일 것이다.

하지만 여기 도리화가는 여자에게 판소리가 금지 되었던 조선 말기로  

세도가들의 득세로 백성의 삶이 곤궁해지고 민심도 흉흉한 혼돈의 시대이니 흥선대원군의 권력에 힘이 필요한 시대였다.

소리를 사랑하는 한 여인의 뜨거운 소리 열정을 담아 어려움 속에서도 잘 이겨내고 소리꾼으로 성장해 나가는

실존 인물인 진채선을 통해  자극되었던  부분이기도 했다.

​책을 읽고나니 영화로 표현된 부분들이 너무나도 궁금해 진다..

소리꾼으로서 당당하게 성장한 진채선 역을 소화한 배수지와 신재효에 역할인 류승룡,

흥선대원군을 김남길이 열연했다 하는데 판소리로 울고 웃는 따뜻한 영화가 되었을 것 같다.

영화를 보고 책을 읽었다면 조금 실망할 수도 있겠지만 책을 통해서 주변 인물들의 자세한 내용을 알기에

영화를 감상한다면 조금 더 영화속에 재미를 알 수 있을 것 같다.

조선에 소리꾼들이 어떠한 모습으로 살아 왔는지를 잘 표현된 도리화가로

사제간에 깊은 사랑을 담고 있는 내용에 푹 빠지게 되고

심청전과 춘향전에 슬픈 판소리에 귀 기울이게 했던 것 같다.

​한 해를 마무리 되는 12월에 도리화가를 접하게 되었고, 내 인생에 있어 복잡한 심정에 빠져 있는 나에게

여자로서 진채선을 보면서 회사와 육아에 힘들고 지친 나에게 한 가닥에 불 빛이 되어 주기도 했던 책이기에

따뜻한 희망을 주기도 했던 책으로 기억될 것이다.

조금만 더 참아내고 이겨내면 나에게도 진채선이라는 소리꾼에 이름을 내 걸을 수 있는

나에 위치가 마련되어지리라 희망을 가져볼 수 있었던 시간이 되기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