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늑대박쥐 ㅣ 중국 아동문학 100년 대표선 3
빙보 지음, 박경숙 옮김, 조우영 그림 / 보림 / 2013년 6월
평점 :
늑대박쥐

중국 아동문학이라는 말에 더더욱 관심이 집중되는 책이다.
중국의 그림책을 접해 보지 못한 나이기에 기대감과 약간은 적대시하는 맘을 가지고 책을 접하게 되었다.
제목에서 부터 느껴지는 약간에 환상세계를 상상하며 책 속으로 들어가 본다.
특별연구원이란 과학원에서 선교수는 과학에 열정이 강해 별명이 '과학계의 미치광이'라 일컫을 정도로 촉망받는 젊은 과학자다.
선교수는 꿈에서 본 늑대 박쥐를 찾으러 탐험대를 이끌고 남극으로 향한다.
선 교수는 늑대박쥐를 거대한 냉동고에 옮겨 과학원으로 가져간다.
선교수는 살아있지도 죽지도 않은 이런 형태. '한계수면' (삶과 죽음의 경계선상).
늑대박쥐를 되살리는데 성공했다.
얼마전에 본 쥬라기 월드에서 공룡을 되살리 듯 공상과학영화가 떠오르는 부분이다.
내용은 계속 흥미진진했다.
늑대박쥐는 공룡이 살았던 중생대에 살았는데 고등동물인 늑대박쥐.
강력한 내부 에너지로 다른 공간 통로를 찾아 늑대박쥐는 공간왜곡을 할 수 도 있다.
마지막 부분에 모두를 내부에너지로 1분동안 남극에 머물다 데려다준 늑대박쥐의 부분이 너무나
인상깊다.
늑대박쥐는 리리를 통해 어떤 말을 하려고 한걸까?
리리를 삼켰고 리리를 통해 자신의 말도 가르쳐 주고 이름도 '아이모'라 가르쳐주고 밖으로 돌려 보내준
늑대박쥐 아이모는 리리의 사건으로 총살위기에 처하고.
박진감 넘치는 공상과학 소설처럼 이야기가 계속 이어진답니다.

늑대박쥐 아이모는 자신의 종족이야기와 특별한 공간으로 들어가
오랜 기다림이 시작된 이야기를 하는 부분이다.
세포급변으로
순식간에 화석으로 남게 되었다는 이야기의 마지막,
“이제 앞으로 1억3500만 년을 더 기다릴 수 있을 뿐”이라는
아이모의 말이 계속 기억에 남는다.
미래에 대한 희망도 놓치지 않습니다.
꼭 과학자가 되어서 다시 돌아오겠다는 열 살 리리의 다짐이 뿌듯하기도 합니다.
주인공 리리와 같은 나이의 아이들이 읽을 수 있을 만큼 쉽고 재미있습니다
다음편도 나올 것 같은 약간에 기대감을 남기는 부분입니다.
초등2학년인 우리아들 갑자기 아기공룡둘리 이야기를 꺼낸답니다.
남극에 거대한 빙산조각
둘리와 같은 곳에 있었나봐. 하는 아들에 이야기와 함께 우리는 공룡들에 이야기로
따뜻하게 마무리 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