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보이 - 2019 뉴베리 영예상 수상작
캐서린 머독 지음, 이안 숀허 그림, 김영선 옮김 / 다산기획 / 2019년 12월
평점 :
절판


2019 뉴베리 영예상 수상작!

더 보이


 

책에 표지부터가 색다름을 느끼게 하는

화려한 목판화 스타일의 일러스트도 볼거리에 보태는 뛰어난 작품에 모허머 이야기라

처음 책에 뚜께에 살짝 겁나했는데,

몰입해서 보게 된 책이다.

모험이야기에 <더 보이> 중세시대를 떠올리며, 신비하고 긴장감 넘치는 스토리에 빠져들게 된다.

​책에 마지막 부분에 도달하니 여행경로가 보이는데,

책을 읽고나면서 뒷이야기로 또 다른 이야기를 기대하며 보이의 여행경로를

살펴보게 된다.

 

​책 속에 등장하는 <더 보이> 보이라는 이름을 가진 소년은

 

조금 다른 곱추 소년이었다.

곱추는 등이 굽은 모습으로 다른 사람에게는 약해보이는 모습이지만,

마음은 예쁘고 강한 마음을 지닌 소년이었다.

자신에 외모 때문인지 소년을 조금 감싸주며 보게 되는데,

​이건 지극히 개인적인 마음일 것이다.


중세 시대라는 점을 감안하며 책을 만나게 된다.

중세라면, 영화에서나 역사책을 보면 기사단이나 순례자 들이 등장하는데,

더욱 그 모습을 생각하면 더 멋진 책에 내용에 빠진다.

보이는 특별한 소년이다.

긴 여행 동안에 고양이, 늑대, 개, 새들, 당나귀, 쥐, 양, 말들을 만나면서

그들과 대화를 나누는 특별한 아이라는 점이다.


정말 그 말이 딱 맞는 듯 하지만,

보이는 따뜻함을 느끼며 소중히 하는 아이로 자신이 찾고자 하는

자신의 본래 모습을 찾으려 노력한다.

보이라는 이름을 지어주신 페트루스 신부님은

절대로 너를 드러내지 마라, 혹독하게 매질까지 하면서

자신을 드러내지 못하도록 강조했는데,

보이만에 참 모습을 그 분은 아셨던 것인지?

보이는 우연히 만난 순례자 서커던스를 만나면서 여행이 시작되는데,

서커던스는 보이에게

​보이에 모습을 보며, 천사의 얼굴에 악마의 몸이라 말한다.

​서커던스와 함께 유물을 찾으면서 함게 신비하면서도 긴장감 넘치는 여행길에서

갈비뼈, 이, 엄지손가락, 정강이, 뼛가루, 두개골, 무덤이

유물이라는 건지 궁금증만 늘어가게 한다.

서커던스에 궁금증은 더 커지고 있지만,

긴 모험을 통해 위험한 순간들을 넘기면서

더욱 긴장감을 높이면서도 빠져들게 되는지,

 

서로가 위험한 순간을 함께 보내서인지 서커던스와 보이에 마음은 서로를 향해 따뜻해지고,

동물들과  대화하는 모습에 더욱 몰입해서 읽게 된다.

보잘것 없고, 존재감도 없었던 보이와 함께 한 서커던스는 순례자로서

종교적인 부분도 보여주게 되는데,

중세시대를 배경으로 한 이야기로 처음 무게감을 느꼈던 시작보다는

훨씬 재미있게 마무리 되는 책으로

보이에 간절한 기도부분이 기억에 남는다는 아들에 말에

모험을 통한 이야기를 읽고 난후, 새롭게 학교생활을 시작하는 아이들에게

보이에 입장이 다소 낯설지만, 무게감으로

서로간에 아픔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통해서 성장이야기로 느껴지게 된다.

자신이 낯선 곳에서에 생활이 두렵기만 하지만,

천사 소년 보이를 통해 자신을 더 성장시키면서

자신만에 날개를 펼 수 있기를 기대하게 된 책이기도 하다.


역시 뉴베리 영예상 수상작이라 다름을 느꼈고,

부분 궁금증이 덜 풀린 부분만 다시 찾아 읽어보면서

자신의 생각을 꺼내 보며 곱씹으면 좋을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