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작가실록 1 : 소설 - 작가로 보는 조선 고전 ㅣ 조선작가실록 1
박정란.서재인 지음, 유영근 그림 / 상상의집 / 2018년 7월
평점 :
작가로 보는 조선 고전
조선 작가 실록 첫번째 소설을 만나봅니다.

우리나라 고전이라면 이야기를 통해서 들었던 내용도,
책을 통해서 알게 된 내용도 있는데, 우리 고전을 통한 조상들의 삶의 지혜를 다시금 배워볼 수 있는
우리 아이들에게는 꼭 보여주고 싶은 책이 랍니다.
작가에 따라서 내용에 그 작가에 생각이나 철학이 고스란히 담겨져 있기에
더욱 궁금해진답니다.
초등대상에 아이들이 재미있게 만나볼 수 있을 책 상상의 집 출판사에서 출간된
작가로 보는 조선 작가 <조선 작가 실록 1. 소설편>은
고전을 흥미롭게 좀 더 재미있게 구성해 놓았기에,
더욱 관심갖게 될 책이랍니다.
아직 고전을 접하지 못했던 초등 저학년이라도 이 책을 만나게 된다면,
너무 재미있게 읽게 될 것입니다.

이 책에서는 고전 6편을 만나보게 된답니다.
김시습과 『만복사저포기』
김만중과 『사씨남정기』
허균과 『홍길동전』
박지원과 『양반전』
『박씨전』, 『흥부전』
작가들을 한자리에 모여 사회자와 대화를 하면서 이야기를 시작하게 되는데,
인터뷰하듯 너무 재미있는 설정이 들어가 있답니다.
고전을 널리 알리기 위한 고전을 왜 읽어야 하는지를 잘 알려주고 있는데 그럼 우리도 함 배워볼까요?
첫 번째 소개해주고 있는 작가 김시습입니다,.
직접 프로필을 작성하여 소개하고 있어 더욱 신선하다 느껴지는 부분인데요.
다른 고전과는 다르게 독특한 나만에 방식으로 구성되었기에 신선하다고 하네요.
한눈에 보여지는 작가 프로필 아이들은 보는 순간 이해할 수 있겠죠.
더구나 작가에 삶을 연표로 나타내주고 있기에 김시습에 삶을 제대로 알 수 있는 부분이랍니다.

작가가 직접 만복사저포기 를 인형극으로 선보이면서 작품을 소개하고 있는데,
정말 새로운 부분으로 아이들은 그냥 시선이 멈추게 되네요.
만복사라는 절에서 저포라는 윷놀이와 비슷한 전통놀이를 말하는데,
『만복사저포기』 정확한 뜻은 만복사에서 저포 놀이를 하다 로

남원에 양생이 부모를 읽찍 여의고 장가도 들지 못한 책 외롭게 만복사에서 지내다
부처와 저포기 놀이를 하다가 좋은 짝을 만나게 되었는데,
3년간에 연을 맺고 살다 헤어지게 되지요.
그 여인은 살아있는 사람이 아니라 이미 죽은 사람으로
다시만날 날을 약속하고 떠나지만, 여인의 영혼이 슬퍼하고,
양생은 제산을 모두 팔아 사흘재 제사를 지내주고,
여인은 그 정성에 감동해 다시 태어나게 되지만,
다른 나라에서 남자의 몸으로 태어나게 된다고 하니
양생은 이후 다시 장가를 들지 않고, 약초를 캐며 살았다고 합니다.

고전을 읽은 후 작품의 내용에 좀 더
금오신화에 실린 5편의 이야기들을 소개해 주고 있답니다.
만복사저포기도 그 중 한편에 들어가게 되지요.우리나라 최초의 소설이라 불리는 금오신화는 정말 다양한 사상이 담겨져 있음을 알게 되네요.
모두 다 궁금해져 오는 아이들이기에 꼭 찾아보고 읽어보면 좋겠죠.
다양한 각도로 살펴볼수 있는 <조선작가 실록 소설편>으로
작가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볼 수 있답니다.
천재에서 떠돌이로

김시습은 당시 어려운 상황을 글로써 표현해주며,
이야기속 인물들에 삶을 통해서 그 배경을 잘 표현해 주고 있답니다.
한 편에 고전이 끝나는 부분에 아주 특별한 대담<아특대>담 이라는 재미있는 코너가 있네요.
역사적 인물들이 대담에 참가하여 역사적인 사건도 알려주고 있답니다.
대담에 참여한 인물들이 낯설은 아들 그렇지만
우리에 역사를 조금씩 설명해 주면서 함께 읽을 수 있는 책으로
작가로 보는 조선 작가 실록 소설편 외에도 다양한 책들이 나와주면 좋을 것 같아요.
우리 역사에 더욱 관심이 집중되는 아이들
다양한 고전들도 더욱 많이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되어 줄 수 있는 책이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