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프티 피플 - 2017년 제50회 한국일보문학상 수상작
정세랑 지음 / 창비 / 2016년 11월
평점 :
절판


한글로 써진 제목을 뻔히 보면서도 이상하게 나인티 피플이라 말하곤 했다. 읽어보니 주요 인물이 90명 쯤 나오는 소설인 것 같다. 정세랑 작가는 역시나 상황 설정이나 말을 끌고가는 능력이 탁월하지만. 이런 형식의 글을 세 권 쯤 읽고 나니 재미난 숏폼 영상을 본 것 같았다. 긴 호흡의 소설에서 아쉬움을 느꼈던 적이 있어서 더 그런듯. 그래도 나는 정세랑 작가가 좋다.

쉰 다섯개의 이야기를 읽으며 마음이 꿈틀댔다. 가난하고 험한 삶을 살다 가는 사람들, 무난하고 선한 삶을 살다 가는 사람들, 어쩌면 거주지나 직업, 이름마저도 이럴까. 이건 리얼리즘일까. 그렇지만 작위적이고 따뜻한 엔딩은 또 현실과는 거리가 멀고. 내 가슴에 남은 스토리나 주인공의 대사가 많고 많지만 이상하게도 허무하고 억울하게 죽거나 다쳐버린 사람들이 자꾸 기억난다. 가난하고 짐이 많았던 사람들. 승희나 헌영. 모두가 행복해지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도 그렇게 변하면 어쩌지? 엉뚱한 대상에게 화내는 사람으로? 세상은 불공평하고 불공정하고 불합리하고 그 속에서 우리가 지쳐서 변하면 어쩌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흥, 페미니스트 납셨네."
"페미니스트를 욕으로 쓰는 것도 교양이 부족하다는 증거예요."

하품이 옮는 것처럼 강인함도 옮는다. 지지 않는 마음, 꺾이지 않는 마음, 그런 태도가 해바라기의 튼튼한 줄기처럼 옮겨 심겼다.

가장 경멸하는 것도 사람, 가장 사랑하는 것도 사람. 그 괴리 안에서 평생 살아갈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설처럼 문지 스펙트럼
다니엘 페낙 지음, 이정임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자이자 부모인 그대들에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침해할 수 없는 독자의 권리 
1. 책을 읽지 않을 권리 
2. 건너뛰며 읽을 권리 
3. 책을 끝까지 읽지 않을 권리 
4. 책을 다시 읽을 권리 
5. 아무 책이나 읽을 권리 
6. 보바리슴을 누릴 권리
7. 아무 데서나 읽을 권리 
8. 군데군데 골라 읽을 권리 
9. 소리 내서 읽을 권리 
10. 읽고 나서 아무 말도 하지 않을 권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