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바꾼 경제학
야자와 사이언스 연구소 지음, 신은주 옮김 / 김영사 / 201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상을 바꾼 경제학

2022.1.4.()

경제학의 줄기는 애덤 스미스, 케인즈, 밀턴 프리드먼을 통해 자유방임주의, 정부의 개입(재정정책), 신자유주의로 이어진다. 애덤스미스는 국부론에서 시장에서의 보이지 않는 손이 가격을 결정하여 수요와 공급을 조절한다고 본다. 케인즈는 수요를 유발하는 정책으로 경제 공황을 극복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재정정책의 한계를 인식한 밀턴 프리드먼은 돈을 풀어 경기를 부양해야한다는 입장이다. 케인즈의 주장을 계승한 이론을 재정주의, 밀턴 프리드먼의 학풍을 통화주의라 한다. 어느 것이 옳은 것일까?

 

애덤 스미스가 주장한 자유방임주의는 어떻게 생산력을 확대하고 부를 증가시키며 어떻게 부를 분배할 것인지를 연구하고, 측정하는 가치를 노동에 두는 노동가치설을 토대로한다. 경제활동을 자유롭게 두면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서 사회적 조화가 이루어진다는 것으로 국가가 무역을 통제하던 중상주의를 무너뜨렸다. 맬더스, 리카르도가 이런 류의 학풍을 따른다.

케인즈 경제학은 총수요가 경기순환을 결정하고 경기 순환을 안정시키기 위해 정부가 재정정책으로 적극 개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총지출과 총생산이 균형을 이룰 때 케인즈적 균형이라고 한다. 공교육에서 다루는 이야기는 여기까지다.

20세기 후반부터 현재까지 선진국은 애덤 스미스의 영향을 계승한 밀턴 프리드먼의 자유로운 시장경제의 입김으로 신자유주의라 불리는 경제학이 주류인 듯하다. 그러나 케인즈 경제학이 몰락한 것은 아니다. 금융거래에 과세하는 징벌적 세금인 토빈세를 주장하고, 주식투자에서 달걀을 한 바구니에 모두 담지 말라로 설명하는 포트폴리오 이론을 주장한 제임스 토빈에 의해 케인즈의 생각은 아직 유효하다.

 

메인 스트림에서 비껴있는 아마르티아 셴과 경제지리학을 개척한 폴 크루그먼도 주목받아야 한다. 미국과 영국이 자본주의 경제를 이끌어 가고 있고 합리적인 행동을 하는 경제인을 전제로 국가 경제의 성장과 불황을 다루는 주류의 경제학의 입장에서 인도인 아마르티안 센은 출신국 뿐 만아니라 후생 경제학으로 부르는 빈곤, 기아, 불공정한 분배와 같은 사회적 불평등을 다루기에 비주류이다.

폴 크루그먼은 데이비드 리카르도의 비교우위에 따른 무역을 제치고 수확체증이라는 규모의 경제를 토대로 공간을 경제에 포함 시켰다. 경제지리학을 개척한 것이다. 내 전공에서 언급되는 학자이다.

이밖에도 게임이론으로 전쟁과 인간사회를 읽어 낸 로버트 아우만과 토머스 셸링, 인간은 합리적 의사결정만 하는 게 아니라는 심리실험연구로 경제학의 지평을 확대한 대니얼 카너먼 등도 현대 경제학을 이해함에 필요하다.

 

길게 잡아도 200여 년 밖에 되지 않은 경제학은 자본주의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중요한 학문이다. 고등학교 수준의 경제교육에서 애덤 스미스와 케인즈 까지가 다루는 경제학의 범위이다. 경제학은 심리학, 지리학, 실험경제학, 행동경제학 등의 학문과 영향을 주고 받고 있다. 또한 우리의 실제적 삶과 깊게 연관되어 있으니 커리큘럼이 확대되어야 할 듯하다. 애덤스미스의 <도덕감정론>이 노벨상을 받은 경제학자의 이론과 이어져 있음도 확인한다. <세상을 바꾼 경제학>은 아홉 명의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에 대해 쉽게 풀어쓴 교양 서적이다. 서구형 자본주의가 가장 뛰어난 경제 시스템이라는 전제에서 수여하는 상이기에 경제학에 가장 큰 충격을 준 마르크스에 대한 언급은 없다.

 

게임이론, 죄수의 딜레마는 학교폭력 업무를 다루는 교사에게 유의미할 것이다. 폴 그루그먼과 함께 <공간이론의 사상가들><현대 공간이론의 사상가들>을 통해 경제학과 지리학의 접점을 늘려야 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