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론부터 써라 - 당신의 메시지 전달력을 극대화하는 논리적 글쓰기의 힘
유세환 지음 / 미래의창 / 2015년 4월
평점 :
품절


일단 책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를 하기에 앞서 이 책 <결론부터 써라>는 '효율적인 글쓰기'를 원하는 사람들이 읽으면 좋은 책이란 걸 미리 알려둔다. '어떻게 글을 써야 글을 잘 쓸 수 있는지'(문장, 형태, 언어)에 대한 글이라기 보다는, '어떻게 글을 써야 읽는 이가 효율적으로 내용을 알아볼 수 있는지'를 중점으로 두고 이야기를 풀어나가기 때문이다. 혹시라도 현실에서 어떤 글쓰기가 도움이 될까.. 생각하면서 책을 집어 든 이라면 조금은 실망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이 책 <결론부터 써라>는 회사에서 누군가를 설득해야 하는 글을 써야 할 때, 자신을 부각시켜야만 살아남는 자기소개서를 쓸 때, 상사에게 보여줘야 할 보고서를 쓸 때 무조건 도움이 되고도 남을테니 일에 바로 적용시킬 수 있는 글쓰기를 찾는 이들에게는 안성맞춤이란 생각이 든다. 책에서 강조하는 내용들을 살펴보면 확실히 글이 깔끔하게 변하고 중요한 내용이 눈에 더 잘 들어오는 것을 알아볼 수 있기 때문이다.


글쓰기에 어떤 법칙이 있다거나 어떤 것이 무조건 옳다거나 할 수는 없지만, 잘 읽히는 글과 눈에 잘 들어오는 글은 따로 있다. 적어도 누군가에게 글을 보여줬을 때 어떤 글을 쓴 것인지는 읽는 이가 정확히 눈치 챌 수 있어야 글을 쓴 의미가 있는 것인데, 주제를 찾지 못할 정도로 글이 방황하고 있다면 읽는 이는 얼마나 당황스러울 것인가. 대체로 글을 잘 쓰지 못하는 사람들은 선후관계가 분명치 않은 문장을 쓴다거나, 자신의 주장을 한 문단 내에 끝까지 이어가지 못하는 비루한 설득력을 갖고 글을 쓰기도 하고, 정확한 개념을 쓰지 않아 여러가지로 해석되는 오류를 낳기도 하고, 어렵지 않은 글도 어렵게 만드는 재주를 갖고 있으며, 심지어 어떤 사람은 글쓰기가 무서워 무턱대고 글을 써야 하는 공간만 하염없이 바라보기만 하기도 한다.  글쓰기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려면 일단 문장이 틀리던 문법이 틀리던 자주 써 버릇해야 하는데, 틀리는 게 무서워 쓰지 못하고 그러니 글솜씨가 늘지 않는 악순환이 계속되는 것이다. 글은 좋으니 싫으니 해도 글쓴이의 성격이나 감정이 드러나기 마련인데 두려움을 가진 채로 쓴 글이 얼만큼이나 남을 설득해 낼 수 있을까.


<결론부터 써라>의 저자 유세환은 서론에서 본인도 '글을 잘 쓰지 못하는 사람'이었다는 회고를 한다. 글쓰기를 제대로 배운 적도 없었을 뿐더러 글을 써 본 적도 별로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다 대학교 2학년때 <영문 리포트 작성법>이라는 교필 과목을 수강하게 되면서 '글을 어떻게 써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처음 듣게 되고 (저자가 이때 배운 글쓰기 지침은 '전형적인 영미식 5문단 에세이 쓰기 지침'이었다) 글쓰기의 신세계를 만나게 된다. 영미식 5문단 에세이의 핵심은 결론부터 쓰는 글쓰기였는데, 저자는 이를 실생활에도 잘 적용- 국회 입법조사관으로 일하는 동안 큰 도움을 받았다 이야기했다. 직장생활은 '그 자체가 글쓰기의 연속'이었다고 회고하기도 하면서, <결론부터 써라>를 통해 기존의 글쓰기 책들이 알려주지 않는 글쓰기 방식을 일러주고 싶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서 알 수 있는 사실은, 이 책은 기본적으로 영미식 5문단 에세이 쓰기의 글쓰기 방식을 소개하고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이 책이 기존의 책들과 다른 것이 있는데 바로 저자가 직접 경험하면서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가설을 세운 글쓰기 방법이 그것. 저자는 자신이 직접 경험하면서 얻은 '잠정적인 결론'과 '이유'를 쓰고 시작하는 것이 기존의 영미식 5문단 에세이 쓰기보다 얼마나 더 나은 결과를 보여주는 지에 대한 이야기에 초점을 맞춰 책을 썼다. 쉽게 말하자면 더 좋은 글쓰기를 위해 기존의 지침에 자신의 노하우를 더한 것이다.


저자는 자신이 경험한 새로운 글쓰기에 "다이아몬드 글쓰기" 라는 이름을 붙였다.

구상이나 자료 조사에 앞서 잠정적 결론과 그 이유를 간략하게 먼저 쓴다. 이를 임시 서론으로 삼고 본론에서는 이유들을 하나하나 자세하게 서술한다. 결론에서는 그 이유들을 간략하게 요약하고 이에 근거해 결론을 다시 한 번 쓴다. 글을 써나가면서 계속 앞으로 돌아가 임시 서론의 잠정적인 결론과 이유를 고치고, 그에 따라 본론과 결론 부분도 고쳐쓴다. 이렇게 쓰면 결론이 맨 처음과 맨 뒤에 나오는 다이아몬드 형태가 된다. (p 25)

앞뒤에 간략한 결론이 나오고 중간에 풍부한 설명이 들어있어서 길쭉한 육각형 모양이 되어 이를 다이아몬드라고 부르는 것인데, 기존의 관행적 글쓰기보다 영미식 5문단 에세이 쓰기보다 훨씬 직관적이고 직접적이다. 자신이 하고자 하는 말을 먼저 뱉고 그에 관한 이유와 증거를 충분히 제시해서 자신의 주장을 다시 한 번 펼치는 글쓰기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시간이 없을 때는 서론 부분의 결론만 읽어도 글쓴이가 무엇을 이야기하고 싶은지를 알아챌 수 있어 효율적이기까지 하다.


동양의 기본 사고가 결론부터 이야기하고 이유를 제시하는 논증적 사고와는 거리가 멀어 우리에게는 낯선 이야기일 수도 있겠다. 하지만 책 속에 비교되어 있는 예문을 보면 알 수 있듯이, 결론부터 적어 자신이 앞으로 무슨 이야기를 할지에 대해 알려주고 이야기를 시작하는 것은 그렇지 않은 글보다 훨씬 논리정연하게 느껴진다. 확실히 보고서나 레포트, 논술적 사고를 요하는 글쓰기를 할 때는 많이 도움이 될 듯 싶다. 하지만 가끔은 이 이야기를 하다가 잠시 정신 나간 것처럼 다른 이야기를 하기도 하는 그런 정신없는 글도 매력적으로 느껴질 때도 많다. 의상이나 매너는 장소와 시간과 상황에 따라 달라져야 하지 않은가. 글쓰기도 마찬가지다. <결론부터 써라>가 설명하는 다이아몬드 글쓰기 또한 장소와 시간과 상황에 따라 쓸 수 있도록 잘 다듬어 놓는다면 분명히 커리어에 도움을 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돈 들여 논술을 배우는 것보다 직접 써보고 논증적인 생각을 해 보면서 자신의 생각을 다룰 수 있는 글쓰기를 하는 것, 어렵지만 계속하다보면 결코 어렵다 느껴지지 않는다는 이 글쓰기가 저자의 바람만큼 많은 이들에게 도움이 되는 글쓰기가 되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