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 500개 키워드로 익히는 역사상식
휴먼카인드 역사문화연구소 지음 / 휴먼카인드 / 2014년 10월
평점 :
품절


두께부터 어마어마한 이 책. 생각보다 두꺼워서 받아들자마자 깜짝 놀랐던 기억이 난다.

이 책은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라는 다소 과격한 제목을 가지고 있다. 책 제목이 참 전투적이면서도 무시무시하다는 느낌이 드는데, 두께 또한 한껏 전투적이라서 이 책은 뭔데 이렇게나 두꺼울까 궁금함이 앞섰다. 책은 하나같이 독자의 신경을 건드리는 전투적임을 갖고 있는 표지들을 갖고 있다. 띠지에는 "역사를 모르는 무식한 국민에게 고함"이라고 적어뒀다. 이건 독자랑 싸우자는건가?란 생각이 들만큼의 강한 어조다.

하지만 나는 이 책에서 이야기하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역사상식은 심각한 수준에 머물러있다'는 이야기에 동의한다. 아이들은 생각보다 역사에 대해 아는 것이 없고, 알지 못한다고 해도 딱히 사는데 불편하지 않으니 더더욱 몰라도 되는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듯 하다.

 

"안중근 의사는 성형외과 의사"

"야스쿠니 신사는 야스쿠니에 사는 젠틀맨"

"3.1절 이거 삼점일절이라고 읽는거 아니에요?"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역사인식이라면서 언젠가 SBS에서 기획으로 취재했던 기억이 난다. 삼일절을 '삼점일절'로 읽는 청소년들을 보면서 얼마나 당황스러웠던지.. 물론 방송에 나온 청소년들이 대다수인지 극소수인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이런 반응이 나올만큼의 역사인식이 낮다는 것만은 간과할 수 없는 사실이었다.

 

이 책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그런 문제점에서부터 출발했다. 역사에 문외한인 사람들이 좀 더 쉽게 읽고 이해할 수 있는 역사책이 필요하다는 것 말이다. 그래서 이 책은 키워드들이 크다랗게 적혀 있다. 어느 페이지를 펴더라도 키워드는 큼지막하게 독자를 맞이한다. '키워드로 익히는 역사상식'이라는 부제는 괜히 붙은 게 아니다. 

 

 

 

모든 페이지가 이런 식으로 구성이 되어 있다.

어느 시대인지 시대구분부터 먼저 나오고,

그 다음에는 큰 클씨로 키워드가 나오고,

아래엔 키워드의 의미와 설명이 간단하게 되어 있다.

 

이 책이 아주 깊은 역사를 알려준다고 이야기할 수는 없다. 하지만 역사가 어려운 사람들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좋은 조건을 가지고 있다. 어려운 설명은 없고, 시험에 많이 나오는 중요 단어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한 페이지에 1개의 키워드만 존재하므로 책을 읽어나가는데 큰 부담감도 없고, 필요한 부분을 찾아서 볼 수도 있다.

 

 

역사가 너무 다가가기 힘들다 생각한다면, 이 책으로 간단한 키워드들부터 익히는 것도 나쁘지는 않은 시작일 것 같다. 더 깊이 공부할수록 따로 키워드들을 익힐 시간이 없고, 키워드들을 제대로 익혀두지 않으면 내용이 뒤죽박죽 되기 쉬우므로, 공부한다 생각하지 말고 그냥 읽어본다 생각하고 이 책을 마주하면 키워드들이 결코 어렵게만 느껴지지 않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