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웅 백범
홍원식 지음 / 지식의숲(넥서스) / 2013년 6월
평점 :
절판
<영웅 백범>을 읽으면 읽을수록
예전에 <백범일지>가 되살아나는 느낌이었다. 너무 오래 전에 읽어서 대부분의 내용이 소실된 줄만 알았는데, 책을 읽어갈
수록 잊고 있었던 부분들이 되살아나 꿈틀거리는 것 같이 느껴졌다. 이 책 <영웅 백범>은 간단히 말하자면 김구 선생의
전기이다. 19살의 어린 김구부터 한반도 통일을 위해 고군분투하다 시해되는 민족 지도자 김구까지의 일들을 꽤 자세히 다뤄주고
있기 때문이다. 한 시기의 이야기는 채 4~5페이지를 넘지 않는 선으로 마무리가 돼 있다. 아무리 긴 이야기라 하더라도 소제목으로
나눠서 읽어내려가기 편하게 돼 있어 힘들고 어려운 작품은 아니었다. 오히려 조금은 읽기 힘들었었던 <백범일지>에 비해
<영웅 백범>은 한결 읽기가 편했고 그래서 출판사가 밀고 있는 '남녀노소 모두 다 읽을 수 있는 책'이라는 점에
어느정도 동의하는 바이다.
소
설이라는 장르의 특성상 조금의 과장이나 사실이 아님이 더해졌을 수는 있다. 하지만 오히려 그런것이 인물의 배경을 설명하는데 더
좋은 방법이 되기도 한다. 백 마디의 말보다 한 마디의 행동이 위로가 될 때가 있는 것처럼. 작가는 김구 선생인양 이러쿵 저러쿵
속마음을 설명해내지 않는다. 그저 방관자의 시선으로 '이런 기분이지 않았을까' 혹은 '김구의 눈에는 눈물이 고였다' 등의 입장을
취한다. 작가가 주인공 김구 선생의 마음에까지 관여해서 이렇게 저렇게 극에 끌고 다녔더라면 이 책에 대한 신뢰도는 많이 하락했었을
것이다. 너무 한쪽으로 치우치는 소설을 막기 위해 시도한 느낌이라고나 할까. 그 느낌이 나는 꽤 마음에 들고 글의 신뢰도를
높이는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그
어떤 이야기보다 김구 선생을 이야기할때는 독립운동 이야기를 빼 놓을 수 없다. 그리고 또 하나 임시정부 이야기 또한. 가끔씩
독립투사들의 전기나 특집 드라마 같은 것들을 방영해 줄때가 있다. (호국보훈의 달인 6월이 되면 그 횟수는 잦아진다.) 보면
저절로 숙연해진다. 아마 나는 그 시대에 태어났더라면 굉장히 부족한 사람으로 태어나지 싶다. 겁도 많을 뿐더러 그 모진 고초를
이겨낼 자신이 없기 때문이다. 또 나 자신을 버려가며 내 목숨을 내주어가며 조국을 생각할 자신도 없기 때문이다. 나라 잃은
슬픔이야 만백성이나 비범인이나 다를 바 있겠냐만은..결국 범인과 비범인의 차이는 행동력이 아니었을까. 도대체 김구선생의 그 배짱과
용기는 어디서부터 나왔던 것일까. 일제의 고문으로 상한 몸과 잘 먹지 못해 야윈 몸, 그리고 많은 나이등은 아무래도 장애였을 것
같은데 김구 선생에게는 아무것도 아니었던 것 같다.
책 가득가득 존경해야 할 이야기들이 넘쳐난다.
자꾸만 모든 것이 조금씩 뒤틀려져 회자되고 있는 지금,
많은 사람들이 이 책을 봄으로써 잘못된 인식을 바로잡을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