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삶의 변주곡 클래식 - 음악의 기쁨을 아는 젊은 클래식 애호가를 위한 음악 토크 콘서트
류준하 지음 / 현암사 / 201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처음 받았을 때의 느낌은... 와- 두껍다,라는 아주 원초적인 것이었다.

마치 두 권 분량인 듯 두께부터 무게까지 하나같이 묵직한 이 책을 받으면서 '클래식이란 이만한 무게인걸까'라는 철학적인 생각까지 스쳐지나갔다.

조금은 오버스러운 느낌이지만, 처음 이 책을 받았을 때의 내 느낌은 그랬다.

 

 

 

 

 

그리고 펴 든 이 책은 내 눈이 팽글팽글 돌아갈 만큼의 많은 노래들과 이야기들이 나온다. 아무래도 클래식에는 가요만큼의 지식이 없는 나기 때문에 하나하나의 이야기 쫓아가기가 그리 쉽지만은 않았다는 게 사실이다. 게다가 가장 큰 문제는 내가 여기 나오는 음악들의 정확한 음악을 잘 모른다는 것.. 책을 읽는 내내 아쉬웠던 게 정확한 음악을 찾아서 들어보며 읽는 것과 그렇지 않을때의 느낌 차이가 많이 난다는 것이다. 유명한 음악들 혹은 내가 알고 가지고 있는 음악들은 귀로 들으면서 책을 읽을 수 있었고, 그러면 이 책에서 화자들이 이야기하는 것이 무엇인지 제대로 알고 느낄 수 있었는데 반해- 전혀 모르는 곡이거나 구하기 힘든 오페라곡의 경우에는 많이 와 닿지 않았기 때문이다. 다음번에 이런 책이 나오면 CD까지 같이 나왔으면 좋겠다. (저작권 때문에 안되려나..) 무튼 이건 많이 아쉽아쉽.

 

 

확실히 전문적인 느낌이 많이 가미됐지만, 대화체라서 어렵게 느껴지지 않는다. 하지만 알고보면 엄청 전문적인 것을 읽고 있다는거~~ 등장해서 이 글을 이끌어가는 화자가 셋이 있는데- 대학생인 류수연 화자는 모른다고 하면서 자꾸 질문을 던지고 화두를 던져서 주제를 바꿔주는, 사실상의 사회자 역할을 하고 있다. (대학교 졸업반이라는 설명이 무색하게 너 너무 박식해!!ㅋ) 줄줄이 나오는 음악가들의 이름과 노래 제목들의 향연을 보고 있노라면, 내가 모르는 클래식의 세계가 이만큼이나 넓구나 새삼 깨닫게도 되고, 알고 있는 내용들을 본다면 꽤 많이 흥미로운 내용들이 내게 전해진다. 한 가지의 주제를 정해놓고 그에 해당하는 음악들을 모아서 한꺼번에 소개하는 식인데, 오페라와 가곡 클래식 재즈등 장르에 관계없이 폭넓은 이야기가 오가고, 이탈리아 프랑스 영어등의 가사들을 예쁜 한국어로 번역해서 원어로는 느끼기 힘들었던 감성도 꺼내어준다.

 

 

 

 

 

 

 

내가 가장 흥미롭게 읽은 부분이 '달'과 관련된 부분. 내가 좋아하는 '달님'이기도 하거니와, moon river와 fly to the moon등의 영화음악과 리메이크가 많이 되어 이미 친숙한 노래와 베토벤의 월광. 엄청 대중적인 음악들의 등장으로 나를 씬나게 했던 5번째 이야기. 한글로 읽을 수 있었던 아름다운 가사들의 두 곡과 베토벤의 소나타에 월광이라는 이름이 붙은 설과 그 밖의 이야기(주야장천 이야기할 수 없는 노릇이라 이렇게 줄이지만, 직접 읽어보면 꽤 자세한 내용들이 알차게 들어차있다) 역시 뒷이야기건 자세하 이야기건- 뭔가를 많이 알면 그 선입견이 사라지는 것이 느껴지는데, 그럴때마다 느껴지는 감정은 늘 새로운 것 같다. 내가 자체적으로 내린 결론은 슬프거나 예쁘거나 그 느낌이 어떻든 '달님'은 역시 좋아!라는 것.

 

새로운 지식들이 많지만 내가 받아들이기엔 조금 내공이 부족하게만 느껴졌던 이 책.

역시나 많이 들어보고 느껴보고 이 책을 다시 읽는다면 지금과는 또 다른 느낌일테지. 내가 너무 부족해 많이 알 수 없어 아쉬웠다.

이 책의 리뷰를 다시 쓸 때쯤엔 좀 더 깊은 지식으로 이 책을 온전히 이해하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