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바이 마이 러브
가쿠타 미츠요 지음, 안소현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12년 4월
평점 :
절판


카피가 마음에 들었다. "그렇게 아팠는데도 나는 또 다시 사랑을 시작했다" 라는 이 카피가.

그래서 이 책을 처음 집어 들었을때, 가슴 절절한 사랑이야기겠구나 생각했다.

 

그렇게 생각하고 글을 읽어내려가는데 이게 웬걸. 가슴 절절한 사랑이 아닌 현실에 꽉 맞닿은 사랑이야기들이 펼쳐지고 있었다. '소설의 탈을 쓴, 어떤이의 일기같은 느낌의 소설'이라고 하면 그 느낌이 대충 와 닿으려나. 말로 표현하기 힘들 정도로 솔직한 이야기들이었다.

 

 

 


 

이 책은 총 일곱가지의 이야기가 옴니버스 식으로 연결되고 있다. 첫번째 이야기에서 여자가 주인공이었다면, 두번째 이야기에선 그 여자와 사귀었던 남자가 주인공인 식으로- 이야기가 앞의 이야기와 묘하게 연결 되어 있으면서도 전혀 각각의 이야기로 펼쳐져 있다. 그리고 일기같은 느낌이라고 표현한 건- 주인공 한 사람의 시점으로 펼쳐지는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사소한 고민을 하는 어떤 순간까지 자세하게 드러나는지라, 소설을 읽는동안 주인공에게 철저히 공감한다. 정말 사소한 고민조차도 굉장히 신경써가면서. 하지만 중요한 건, 소설 속 모든 주인공들은 다음 이야기에 등장할 상대방에게 차인다는 거. 상대방이 도망을 갔던 어쨌던간에 모두들 버림을 받는다. 심지어 '내가 찼다'라는 상황인데도 차인 것만 같은 기분이 들기도 하고.

 

그래도 이야기의 마무리 부분은 시간을 점프해서 먼 미래로 넘어간다. 그리고 조금은 덤덤해진, 그때의 이별에서 완전할 수는 없지만 덤덤해진 주인공을 보여줌으로써, '사랑은 아프지만 괜찮다'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새로운 일상에 완벽히 적응하는 주인공들을 보여주면서 그렇게 위로하는 듯 했다. 사실, 이 책을 읽으면서 생각한 게- 우리네 삶 속에 녹아있는 사랑이란 건, 언젠가 읽었던 소설같이 격정적이고 슬프고 즐겁지만은 않다는 것 말이다. 같이 있어도 이상하게 불안하고, 계산하고, 경계하고, 고민하고 있다는 것.. 뜨뜨미지근 하지만 은근하기도 하고, 뜨겁게 데인 것 같지만 시간이 지나면 희미해지는 그런 것..

 

 

 

 

 

 

 

마지막 '소녀상담실'의 이야기 속에서 그 전의 여자주인공들이 모두 모인다. 이별을 한 사람들이 모여서 이야기를 나누고 상처를 보듬어가는 클럽인 '소녀상담실'에서 차였던 주인공들은 새로운 사랑을 찾아 떠나리라, 마음 먹는다. 사랑에 데인 상처를 덤덤하게 풀어냈다해도 마음속에 오래 남아 한 발자국도 나갈 수 없던 어떤 이들에게 용기를 내라고 이야기 하고 있는- 마음먹기 나름이라고 굳이 설명하려 들지 않지만, 소설 속의 주인공들의 방황을 통해서 충분히 보여지고 있다.

 

 

잔잔하지만 소설 속의 그 마음들이 죄다 와 닿아서 마음을 두드린다.

지금도 어딘가에서 누군가는 하고있을 지극히 평범한 일상인 사랑. 그 일상과 참 닮은 소설인 것 같다.

 

 

 

 

 

"왜 그럴까? 사람을 생각하는 마음은우리의 어떤 기관보다 타산적이고 튼튼하다. 스키를 타다가 크게 다친다면 이제 두 번 다시 스키따위 타고 싶지 않을 것이다. 펄펄 끓는 물에 화상을 입으면 그 아픔으로 끓는 물에 가까이 가는 걸 피하려 들 것이다. 술을 한꺼번에 지나치게 많이 마셔서 급성 알코올 중독이 되었다면 두 번 다시 폭음은 하지 않을 것이다. 그런데 우리는 언젠가 다시 사랑을 한다. 골절보다 화상보다 급성 알코올 중독보다 뼈저리게 아픈 경험을 했는데도."

- 소녀상담실. p36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