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양장) - 세상의 모든 인생을 위한 고전 글항아리 동양고전 시리즈 4
공자 지음, 김원중 옮김 / 글항아리 / 2012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시중에는 엄청 많은 논어 관련 책들이 있다. 논어를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 설명하는 책부터 일상에 논어를 적용시켜 설명하는 책, 작가가 인상깊었던 논어에 대해서 이야기 하는 책 기타 등등. 나도 논어에 관련된 책을 하나 갖고 있다. 중국인 저자가 논어에서 구절들을 발췌, 일상생활과 직장생활에서의 있을법한 일들을 곁들여 설명해서 꽤 읽기 수월하고 재미도 있었던 책인 <신도림역에서 공자를 만나다>라는 책이다. 지금 인터넷창을 열어 논어라는 단어로 책쇼핑을 하게 되면 엄청나게 많은 책들이 검색될테다. 그리고 이렇게 많은 책들이 쏟아져 나오는 이유에는- 아마도 논어가 시대를 넘어서도 우리에게 전해주는 메세지가 있기 때문일테고.

 

 

 

 

나는 아직까지 논어 완역본을 읽어본 적은 없었다. 필요에 의해서 구절구절 찾아본 적은 있으나, 처음부터 끝까지 쭈욱 읽었던 적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리고 읽어본 논어는.. 흐음. 명불허전이었다. 물론 짧은 기간안에 논어를 읽어놓고 어떤 글을 쓴다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인 것을 안다. 논어를 읽고 그 속 뜻들을 전체적으로 다 이해했다는 것 또한 정말 말도 안된다. 앞으로도 곁에 두고두고서 읽어도 끝까지 이해하지 못할 부분이 있을 것도 안다. 하지만, 2000여 년의 세월을 뛰어넘어 지금까지도 그의 말이 와 닿을 수 있다는 것에 새삼 놀라웠다.

 

다른 완역본은 읽어보지 않아서 어떻다 이야기를 못하겠다. 그저 이 완역본은 번역에 참 충실했다 이야기 할 수 있다. 역자도 서문에서 밝혔다. 

 "공자가 살던 시기에 통용된 단어의 의미와 문법을 항상 염두에 두면서 우리말로 옮겼으며, 논어에 나타난 공자와 제자들의 삶과 당대의 분위기 등은 시경 예기 사기 노자 맹자 등 선진 양한 시대의 저작들을 세밀하게 참조해서 전달될 수 있도록 했다. 오늘날까지 논란을 빚고 있는 구절들의 해석에 있어서는 주희를 포함한 역대 대표적인 주석서들 가운데 원전에서 가장 벗어나지 않은 해석을 선택했고 다른 주석가들의 견해는 각주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이보다 번역에 충실할 수는 없다고 사료되는 이유다.


사실 읽으면서도 이걸 왜 적어 놓았을까,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한 두개가 아니었다. 내 이해도가 아직은 그 부분까지는 커버할 수 없나, 조금은 서운하기도 했다고나 할까. 곁에 두고 더 열심히 읽어 내것으로 만들어야겠다. 안되겠어.. 

 

 

책을 읽다가 엄청 감상적인 공자님 말씀이 있어서 기억에 남기에 한구절 적는다. 물론 감상적인 이야기를 통해 전달하려는 뜻은 분명히 있지만, 그것을 다 뒤로하고- 논어에서 이렇게 감상적인 글은 다시 찾아보기 힘들어서 마음에 들었다.

 

"산앵두나무 꽃이 팔랑이다가 뒤집히고 있네. 어찌 그대를 그리워 하지 않으리. 그대의 집이 멀 뿐이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그리워하지 않는 것일 테지, 무엇이 멀리 있다는 것인가?"
"唐?之華, 偏其反而, 豈不爾思? 室是遠而." 子曰 "未之思也, 夫何遠之有?"
제 9편 子罕 (자한) p.17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