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왕초보 7일 완성 손글씨
유제이캘리(정유진) 지음 / 진서원 / 2018년 10월
평점 :
언제부터였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손으로 글씨를 쓰는 것뿐인데 하나의 작품이 되기도 하는 손글씨와 캘리그라피에 관심이 많았다. 손으로 꼼지락거리며 뭔가를 끄적거리는 걸 잘 하는 특성상 나와 잘 맞아 보이기도 했고. 그런데 막상 시중에 나와 있는 그 많은 책들을 아무리 잘 읽어봐도 내가 원했던 글씨체와 구도가 잘 잡히지 않았다. 쉬운 말로 풀어 설명해 놓았다지만 생초보들이 쉽게 따라쓰긴 어렵다는 얘기다. 그래서 <왕초보 7일완성 손글씨>라는 책 제목을 봤을때 진짜? 라는 생각이 먼저 들었다. 정말 초보들이 따라 할 수 있는 손글씨 팁들을 담은 책이라면 나처럼 헤맸던 사람들에게 한줄기 빛이 될 수 있을 것 같아서다. 무엇보다 '꺾임 없는 직선으로만 이루어져 있는 유제이 서체는 한글을 쓰기 시작했을 때도 직선으로만 쓴 것에서 착안, 발랄하고 예쁜 느낌을 살려 왕초보에게 딱인 글씨체' 라고 저자가 자신의 글씨체를 자신있게 설명한 것을 보고 마음이 확 기울었다. 그동안의 책들과는 뭔가 다를지 몰라!
캘리그라피는 붓펜, 납작펜, 사인펜 등등 사용할 수 있는 재료가 무궁무진하다. 종이 위에 글을 쓰는 것이니 쓸 수 있는 게 뭐든 재료가 가능하다. 그런데 이 책에선 초보들이 가장 사용하기 쉬운 것은 지그펜(납작펜의 한 종류)이라며 다른 것보다는 이 펜으로 연습할 것을 권했다. 일단 이 책은 캘리그라피 책이기도 하지만 악필 교정을 위해 선택했을 사람들도 있으니 뭔가 꾸밈 위주의 잔재주를 알려줄 느낌은 아니었다. 그리고 역시나. 선긋기부터 시작하는 글쓰기였다. 그런 다음엔 자음과 모음을 각각 연습하는 시간을 가졌고, 저자는 특히나 ㅂ의 경쾌함을 위해 따로 페이지를 할애하기도 했다. ㅂ을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글의 느낌이 달라질 수 있다는 작가의 말에 뭐가 그리 다른가? 싶다가도 경쾌함을 가진 ㅂ을 보고 나서부터는 이전의 ㅂ을 머릿속에서 까맣게 지웠다.
뿐만 아니다. 자음과 모음 사이의 거리가 어느 정도 있어줘야 글씨가 예쁘게 표현된다는 것, 자음이 너무 크면 글씨가 어려보이기 때문에 글씨가 어려보인다면 의식적으로 자음의 크기를 줄이려고 해 나가야 한다는 것 등 초보자들이 쉽게 놓치는 부분들을 꼭꼭 짚어주고 있어 책을 읽어나감에 있어 더 믿음이 가기 시작했다.
<왕초보 7일완성 손글씨>는 워크북 개념이다. 실제로 워크북이 따로 포함되어 있기도 하고 말이다. 직접 손으로 책에 따라 써 보면서, 하나부터 열까지 다시 한글을 배우는 마음으로 시간을 들이고 노력한다면 적어도 악필이라 누구 앞에 내놓기 창피하다는 느낌은 들지 않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