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기자의 글쓰기 수업 - <씨네21> 주성철 기자의 영화 글쓰기 특강
주성철 지음 / 메이트북스 / 2018년 12월
평점 :
일시품절


오늘 아침 '제94회 아카데미시상식'이 개최되었다. OTT 플랫폼 작품인 '코다'의 작품상 수상(OTT 플랫폼 작품의 첫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 윌 스미스의 남우주연상 수상과 해프닝, 올해 시상식에서도 대두한 '다양성', '듄'의 6관왕 등극 등이 이번 시상식의 주요 키워드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주요 일간지와 온라인 매체의 연예·문화부 기자들에 의해 기사화되고, 대중은 이를 소비한다.

그런데 이 같은 영화 관련 소식에 관해 연예·문화부 기자보다 더 깊은 내용을 전달하는 이들이 존재한다. 바로 영화 전문 매체의 '영화 기자'다. 일간지와 온라인 매체의 기자들도 큰 책임감을 가지고 영화에 관한 기사를 쓴다. 하지만 영화 기자는 이들보다 더 크 책임감과 전문성으로 영화 기사를 작성한다. 이와 관련해 책 '영화기자의 글쓰기 수업'은 영화 기자의 책임을 말한다.


"내가 쓴 글에 아무런 영향도 받지 않을 사람, 내가 쓴 글의 평가에 따라 관람을 결정하겠다는 사람 모두에게 해당되는 글을 쓰기 위해 '나는 무엇에 대해 중점적으로 쓰겠다'는 정확한 초점과 '이 영화는 좋다(혹은 나쁘다)'라는 명쾌한 주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 32p


"직업적 글쓰기를 하게 되면 '당신은 왜 이 영화에 대해 쓰는가'라는 질문에 '청탁을 받아서, 아니면 편집장이 시켜서 쓰게 되는' 순간이 분명 찾아온다. 하지만 그것을 들켜서는 안 된다. 어떤 순간에도, '지금 나는 이 영화에 대해 할 말이 많다'는 생각으로 임해야 한다. (중략) 이 영화를 통해, 이 주인공을 통해 결국 나를 들여다봐야 하고, 그리하여 다른 사람도 자신을 들여다볼 수 있게 글을 통해 영화와 관객 사이의 매개자가 되어야 한다." - 34~35p


"영화기자는 매주 일정 분량의 원고를 써내야 한다. 괜찮은 영화가 개봉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한 주를 거를 수 없다. 마음에 들지 않는 영화라도 재차 관람하면서 관객의 반응을 살펴야 하고, 프로듀서를 비롯한 스태프를 만나서 요인도 분석해야 한다. 도무지 납득하기 어려운 연기를 한 배우라도 연말에 연기상을 휩쓸었다면 직접 만나서 소회를 들어야 한다." - 72p


"한 영화에 대해 잘 쓸 수 있는 가장 손쉬운 방법이 하나 있다. 바로 작품을 만든 감독의 이전 작품을 보는 것이다. 만약 감독의 이전 작품을 찾아보는 방법이 당연하다고 생각한다면, 여기서 더 나아가 포털 사이트에서 검색하면 나오는, 해당 작품과 유사한 내용과 스타일의 영화인 이른바 '한 핏줄 영화'를 찾아본다." - 244p


지금까지 '영화기자의 글쓰기 수업'에서 강조한 영화 기자의 책임을 소개했다. 어찌 보면 영화 기자의 일상, 저자의 글쓰기 노하우로 볼 수 있는 내용이다. 하지만 더 나은 영화 글을 쓰는 데 필요한 기자의 목적 의식, 마음가짐, 성실함 등이 담겨 있기에 영화 기자의 '책임'이라고 해석할 수도 있다.

책은 영화 기자의 책임을 강조한다. 그런데 따지고 보면 직업적 책임 의식은 영화 기자에만 한정되는 게 아니다. 이에 꼭 영화 관련 일을 하지 않더라도, 영화를 좋아한다면 책을 읽으면서 자신의 직업에 대한 책임을 상기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