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영을 위하여 - 우리 인문학의 자긍심
강신주 지음 / 천년의상상 / 2012년 4월
평점 :
절판


 

 

 

  나도 입시교육에 물든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김수영 시인의 이름에 ! 반갑다라는 생각을 했는데 돌이켜 생각해보니 교실에서 아이들과 색색의 형광펜과 펜을 들고 밑줄 긋고 함축적 의미가 된 부분에 별표나 그렸지 정말로 그에 대해 아는 것은 없다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시를 해부하고 의미를 파헤쳐 머리로는 배웠지만 진정 그의 삶을 이해하고 가슴으로 배운 김수영은 내 지난 지식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았다. 어디 가서 김수영 시인을 알고 있다 라고 대답한 것도 부끄러워지는 순간이었고 앞으로 김수영 시인에 대해 안다고 말할 수도 없겠다 생각했다.

  <김수영을 위하여>라는 책을 보며 진짜 그의 삶을 들여다보고자 했지만 한 가지 걸림돌이 있었다. 바로 철학이라는 키워드였다. 김수영 시인은 관심이 가지만 부분 사람들이 그렇듯 나 또한 철학이라는 두 글자는 어쩐지 손을 멈칫하게 만들고 무겁다는 생각까지 하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이 책으로 손을 뻗기 전까지 얼마나 많은 고민을 거듭하였는지 모른다. 하나의 책을 선택하면 웬만하면 끝까지 읽는 편인데 단순한 호기심으로 읽었다가 나와 맞지 않는 책이라면 가독성이 떨어져 읽는 나도 끝까지 읽어야 한다는 의무감에 사로잡혀 독서를 할 것이고 이를 저자가 원하는 것은 아닐 테니 피차 좋지 않은 꼴을 보이는 셈이 될 거라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수없이 많은 고민을 하고나서 내가 이 책을 선택한 것은 김수영이라는 이름 때문이었다. 지난 나의 지식에 대한 반성으로 김수영 시인을 알고파 한다면 철학이 무엇이 대수란 말인가 라는 생각이 들었다. 결국 이 책은 철학자의 눈으로 본 김수영 시인일 뿐이지 철학에 관해 논하는 책은 아니니까 말이다.

 

  <김수영 시인을 위하여>를 통해 김수영 시인을 꼭 만나고 싶었다.

과연 내가 시험을 치기 위해 배운 김수영 시인이 아닌 그의 진짜 삶과 사상과 성품 그리고 남겨둔 시와 글들을 이제는 마음으로 배우고 싶었다.

 

  먼저 이 책에 대해 이야기하기 전에 가장 특이했던 것을 먼저 이야기하고 싶다. 바로 부록에 관한 것이다. 잡지나 어린이 책을 사야 주는 것이라고 생각했던 부록이 인문학 책에도 딸려온다는 것이 가장 신기했다. 그리고 그게 본문 수록 작품이라는 점도 특이했다.

대게 한 사람의 인생을 뒤돌아보고 그의 작품을 느껴보는 인문학 책들은 그들이 남기고 간 작품들이 책 속에 실려 있다. 그래서 그 것을 당연하게 생각했던 내게 별책부록으로 따로 무언가가 주어진다는 게 생소했다. 낯설게 손에 쥐고 있는 <김수영을 위하여-본문 수록 작품>을 손해 들고 참 뿌듯했다. 일일이 책 속을 훑어서 찾아내어 읽어야 되는 수고를 덜어내고 언제 어디서라도 손을 뻗으면 닿을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책은 시인을 위하여-사람을 위하여-자유를 위하여 라는 총 3부작에 걸쳐 이야기된다.

어쩐지 이 순서에 실린 각 키워드들이 김수영 시인을 대표하는 단어라는 생각이 든다.

시인, 사람, 자유를 위해 삶을 살다간 김수영.

  사실 <김수영을 위하여>는 내 기대에서 약간 빗겨나기도 했고 들어오기도 했다. 많은 부분을 김수영에 대해 알고 싶었는데 책은 김수영이라는 사람 자체에 대해 이야기하기보다는 저자 강신주가 본격적으로 자기 지향점을 드러내는 책으로 드러났다. 즉 철학자로서 인문정신이라는 날카로운 잣대를 들이대며 '자기 이야기'를 써 내려간 책이다. 무엇보다도 <김수영을 위하여>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부분은 민족주의 시인으로 오해 받았던 김수영을 실은 강력한 인문정신의 소유자라고 소개함과 동시에 한국 인문학의 뿌리를 찾는 철학서라고 말한다. 다시 말해, 1960년대에서 한 발자국도 나가지 못한 이 땅의 자유와 인문정신에 대한 강신주의 철학적이고 문학적이며 인문적인 고백록이다


 
따라서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김수영이라는 사람 자체만이 궁금하다면 이 책은 다소 적합한 책이 아닐지도 모른다. 이 책은 불온이란 키워드를 통해 인문학의 주요한 정신과 본질을 제시한 김수영이 한국 인문학의 핵심적인 인물이라는 것을 직감한 철학자 강신주와 김수연의 편집에 의해 만든 책이다 보니 그들의 생각이 다소 많이 깔려있기 때문이다.

다만 이 책에서 진정으로 느낄 수 있는 것은 김수영시인이 익히 입시교육에 물든 우리가 생각하는 것과 달리 민족적인 시인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는 인문정신을 바탕으로 삶을 살아왔고 현재 우리의 삶에서도 이끌어내지 못하는 부분을 생각하고 갈망해왔다는 것을 이해시키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김수영을 위하여>를 시작하면서 듣게 된 저자 강신주의 김일성만세시를 통한 일화는 내 가슴에 콱 박혀왔으며 미친 듯이 공감되었다. 나도 조금의 불쾌감을 느꼈으니 말이다. 이 때 부터는 책을 읽는 것이 어렵지도 않았고 그저 내가 부끄러울 뿐이었다.

   

김일성만세

한국의 언론자유의 출발은 이것을

인정하는 데 있는데

 

이것만 인정하면 되는데

 

이것을 인정하지 않는 것이 한국

 

정치의 자유라고 장면이란

관리가 우겨대니

 

나는 잠이 깰 수밖에

 

시를 읽고 나서, 강연장을 가득 메운 교직원과 학생들의 얼굴을 훑어보았다. ! 무엇인가 잘못되었다.(중략)<김일성만세>라는 시를 듣고 청중들이 불쾌감을 느끼는 것은 그들 내면에 모종의 검열 체계가 작동한다는 것을 말해준다.(중략)50년 동안 도대체 무슨 일이 있었기에, 김수영의 정신이 만개하지 못하고 위축된 것일까? P18~P2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