츠나구 - 죽은 자와 산 자의 고리
츠지무라 미즈키 지음, 김선영 옮김 / 문학사상사 / 2011년 7월
평점 :
절판


‘죽은 자와 산자의 고리’ 책 표지를 받자마자 가장 눈에 띄었던 부분이다. 이 문구만 읽어보면 <츠나구>는 미스터리물이나 공포물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지만, <츠나구>는 가슴 한켠을 울리는 사연이 담긴 책이라는 반전을 지니고 있다.





어릴 때는 ‘죽음’이라는 단어가 와 닿지 않아 잃는 다는 것에 대한 슬픔을 잘 모른다. 내 주위 누군가의 부재(不在)를 맞이하고 나서야 ‘죽음’을 처음 인정하게 되고 죽음이 두려워 지면서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든다. 한 번 맞이한 죽음은 내가 살아가면 살아갈수록 더 많이 와 닿게 되고 더 많은 부재(不在)를 겪게 된다. 비로소 이미 죽은 누군가를 딱 한번만 다시 만나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끔 만든다. 그 것이 조부모 일수도 있고, 형제 일수도 있으며 자식일 수도 있다. 어쨌거나 죽음을 깨닫고 난 뒤, 체념을 맞본 우리가 하는 일은 눈물을 흘리고 떠나간 이를 그리워하는 것이다. 떠나간 이를 그리워하고 추억한다고 해도 내 일상을 달라지는 것이 없다. 다시 돌아오는 것도 아니고 다시 만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시간이 흐르면서 이 마저도 가슴에 묻어 두고 내 앞에 주어진 삶을 살아가기 시작한다. 죽음을 다시 외면하기 시작하는 것이다.





<츠나구>는 죽은자와 산자의 고리를 연결하는 사람으로서 생전에 한 번, 죽어서 한 번 인간의 생사를 뛰어 넘어 만남을 이루어 준다. 그 어떤 조건도 없이 운이 좋으면 이루어 질 수 있지만 내가 만나고 싶어 하는 이가 이미 다른 이와 만났더라면 나와의 만남이 파기 되며, 이는 미리 알 수 없기 때문에 약간의 도박을 걸고 하는 셈이다. 또, 만약 내가 만나고 싶어 하는 이가 나와 만나고 싶지 않다고 거절 한다면 마찬가지로 나의 기회가 박탈 당하는 것이다. 츠나구가 이런 조건을 제시한다고 할 지라도 정말 만나고 싶은 사람, 그 사람들은 누구이며 어떤 사연을 담고 있을까?





몇 가지 사연을 담고 있는 <츠나구>에서는 만나고 싶어 하는 사람도 또 그에 대한 이유도 제 각각 다르다. 그 중 몇 가지를 간략히 소개하자면 다음과 같다.
가장 많은 생각을 하게 했던 이야기는 돌연사한 연예인과 팬이라고 말하기도 모호한 한 여성의 이야기이다. 이 여성은 자신이 어느 누구에게도 사랑을 받지 못한다고 생각하며 결국 자기애마저 사라져 버린 소심하고 움츠러드는 여성이다. 그녀는 자신만이 기억하는 돌연사한 연예인과의 단 한번의 부딪힘으로 많은 용기를 얻어서 만남을 청했다. 처음에는 굳이 전혀 안면이 없는 사람을 선택할 만큼 많이 주어진 기회도 아닌데 꼭 만남을 청해야 하나라는 생각을 했었다. 그러나 책을 덮고 나머지 세 사연 보다 더 생각을 많이 하게한 첫 번째 사연은 결국 그럴 수밖에 없다는 결론을 내게 만들었다. 어느 누구에게도 사랑 받지 못한다고 생각한 여성이 아니던가. 심지어 자기애 마저 사라져 버린 여성에게 유일하게 희망을 주고 용기를 준 연예인이다. 단지 연예인이라는 직업을 가졌을 뿐이지 여성에게는 연예인이 중요한 것이 아니었다.
반면 가장 가슴깊이 울컥하였던 이야기는 죽은 어머니와 장남의 만남이었다. 흔히 장남, 장녀들이 짐을 많이 떠안기 때문에 부모로부터 사랑을 많이 받지 못한다고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부모에게 서운한 점도 자식들 중에 제일 많을 것 이다. 두 번째 사연의 장남도 마찬가지이다. 장남은 어머니에게 서운했고 그 동안 묻어 두었던 말을 꺼내면서 위로 받게 된다. 장남, 장녀는 아니지만 ‘어머니’와의 만남에 가슴이 따뜻해지면서 가장 슬프게 느껴지는 이야기였다.





위에서 간략히 이야기 했던 만남 외에도 다른 만남에 관한 이야기들이 있는데, 모두 공통되는 점은 ‘츠나구’라 불리는 인물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계속 이야기 했듯이 ‘츠나구’는 생사와 관계없이 만남을 연결해주는 인물인데, 어딘가 모호한 점이 한 두 가지가 아니라는 점에서 책을 읽는 동안 가장 궁금한 인물이기도 하였다. 그 ‘츠나구’에 관한 비밀은 마지막에 이야기로 실린다. 어떻게 생사를 뛰어 넘는 만남을 성사 시킬 수 있는지 또 어떻게 죽은 자가 되는 것인지, 그의 가족사는 어떠한지 까지도.
‘츠나구’의 존재 까지 비로소 알게 되었을 때 <츠나구>를 완벽히 끝까지 읽게 되는 순간이다.





현실에서는 존재 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만약 존재 하게 된다면 내가 만나고 싶은 사람은 아직은 없지만 누가 될까? 사실은 그 누구도 만나고 싶지 않았으면 좋겠다. 아직 까지 나는 죽음이 무섭고 두려운 사람이며 내 옆의 소중한 이의 부재를 알고 싶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내가 죽게 된다면 츠나구를 통해 나를 만나고 싶어 하는 사람은 있을까?
어느 날 문득, 죽음이 떠올랐거나 내가 죽게 된다면……하는 생각이 떠오르는 날 다시 <츠나구>를 읽으면 답이 있을 거라는 생각으로 마무리 하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