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서 왕 궁전의 코네티컷 양키 세계문학의 숲 7
마크 트웨인 지음, 김영선 옮김 / 시공사 / 2010년 12월
평점 :
품절


  이 책의 제목인 <아서왕 궁전의 코네티컷 양키>는 쉬운 듯하면서도 어딘가가 미묘하게 어렵다고 느껴졌다.
(어딘가 입에 착착 붙는 제목이 아니어서 늘 말하는데 힘들었다고나 할까…….)

<아서왕 궁전의 코네티컷 양키>의 작가는 마크 트웨인으로 그는 이미 우리에게 익숙한 <허클베리 핀의 모험>의 마크 트웨인이다.

<허클베리 핀의 모험>을 읽을 당시 너무나도 재미있게 읽었던 기억도 나고, 그 때 너무 좋아해서 차를 타고 이동할 때도 만화주제가를

테잎을 따라 즐겨불렀던것으로 기억난다.

그런 점에서 <아서왕 궁전의 코네티컷 양키>도 재미있을 거라는데 한 치의 의심도 없었고 정말 이 책은 도입부부터 재미를 안겨주었다.

 

 

  <아서왕 궁전의 코네티컷 양키>는 그 당시 접하기 힘든 SF적 요소가 포함되어있다.

완벽한 SF적요소가 가미되어있는 작품이라고는 할 수 없다.

그러나 그 당시의 책들이 주로 유토피아와 같은 이상향의 사회에 관심을 둔 것에 반해 이 책은 주인공이 과거로가 당시의 과학기술로

사회를 변모시키려고 한다는 설정에서 독특하고 참신함이 묻어난다.

도저히 19세기 미국인에게서 탄생되었다는 것이 믿기지 않는 스토리 라인이라 읽는 내내 감탄을 금치 못하였다.

지난 과거에 쓰였다고 믿기 어려운 탄탄한 구조와 재미있는 설정덕분에 세계문학 시리즈 중의 하나라고 하는 책을 읽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문학'이라는

틀에 갇히지 않고 전혀 어려움 없이 쉽게 읽을 수 있었다.

 

 

  이 책으로 조금 더 자세히 들어가서 이야기하자면, 주인공은 어쩐지 약간 어리바리 하게 느껴지는 캐릭터였다.

뿐만 아니라 중세시대가 배경이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세시대하면 으레 떠올리게 되는 장언함과 근엄한 분위기보다는

이 모든 것을 해학과 풍자로 담아낸다는 점도 특이하다.

이 책의 홍보문구에서도 '해학과 풍자'가 잘 담겨있는 작품이라고 이야기 한다.

그러한 만큼 <아서왕 궁전의 코네티컷 양키>에서는 그 동안 마크 트웨인의 해학과 풍자가 쏟아져 나온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그러나 단순히 이 책을 재미있는 풍자와 해학이 담겨있다고 단정 짓기에는 의외로 담아내는 것이 많다.

물론 얼핏 보면 당시 상상하기 힘든 스토리와 풍자 및 해학으로 주목을 이끄는 것 같지만, 실상 들여다 보게 된 이 책에서는

그 외에도 당시 미국의 문제를 날카롭게 써내려갔다는 점이 눈에 띄었다.

19세기에는 미국의 문화(문학도 물론 포함되는)가 영국과 같은 유럽에서 나온 것이라는 말에 세계로 부터 인정을 받기란 어려웠다.

이에 대해 마크 트웨인은 자신의 개성을 살려 날카롭게 숨은 뜻을 감추고 '해학과 풍자'로 뜻을 담아낸 작품이 아닐까 한다.

 

 

  <아서왕 궁전의 코네티컷 양키>의 진정한 재미는 이 두 가지를 모두 알게되었을때 진정으로 찾아오지 않을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