딩씨 마을의 꿈
옌롄커 지음, 김태성 옮김 / 도서출판 아시아 / 2010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옌롄커라는 생소한 작가가 쓴 <딩씨 마을의 꿈>은 중국장편소설이다.
평소 중국소설을 잘 읽지 않기 때문에 생소하고 낯선 글이지만, 판금조치를 당하고 무섭도록 섬뜩한 피로 흥하고 망한다는 이야기에 이 책으로 손이 절로 뻗어나갔다.
현실과 판타지의 결합이라는 오묘한 결합을 담고 있는 이 책은 시종일관 신비감과 낯선 느낌을 전해주었다.



'매혈'로 부자가 되고 '매혈'로 인하여 세상을 달리한다.
정부에서 내린 피를 사들이는 사업은 얼핏 보기에는 아무 문제가 없어 보인다.
그러나 피를 팔면 그 피에 해당하는 돈을 주고 어지러운 이들에게 무료로 야채를 나눠준다.
처음에는 매혈을 꺼려하던 딩씨 마을 사람도 손쉽게 돈 버는 방법을 알게 되면서 너도나도 매혈에 동참하게 되었다.



그리고 딩씨마을의 저주는 이제부터 시작되었다,
딩후이가 국가에서 사들이는 것 보다 좀 더 비씨가 사들이자 주민들은 너도나도 딩후이에게 피를 팔았다.
그리고 딩후이는 사들인 피를 다시 파는 것으로 이익을 남겼다.
이 와중에 딩후이는 주시가 하나를 세 번 쓰고 소독 솜을 세 번 세 사람에게 쓰면서 마을은 얼마 지나지 않아 '열병'에 시달리게 되었다.
신약도 없이 열병이라는 병에 걸려죽는 사람은 하루에도 수십 명이었고 마을은 딩후이를 저주하기 시작했다.
이 열병이 에이즈였다.



<딩씨마을의 꿈>에서는 현실과 판티지 외에 특이한 점이 하나 더 있다.
마을사람들은 딩후이를 저주하였고 그들은 그의 닭, 돼지, 그리고 아들까지 죽였다.
아이들은 선생은 아니지만 오랫동안 학교에서 일을 도맡아 했던 딩후이의 아버지, 즉 할아버지 담벼락 밑에 묻혔다.
그랬음에도 불구하고 옌롄커는 이 소년을 소설 속 화자로 등장시켰다.
모든 이야기의 흐름은 이 아이의 눈을 통해 일어났는데 그래서인지 이 무서운 이야기가 아이의 눈에 순수하게 투영되고 있다는 느낌을 받게 된다.
옌롄커의 소설 특징 중에 하나인 '판타지와 사실'이 합쳐진 듯 한 오묘한 느낌이 들었다.



P460: 고금을 막론하고 중국문학에서 가장 결핍된 요소는 비극의식과 참회의식이다.
...
희극에 강한 반면 비극에 약한 것이 중국의 문화이다.



옮긴이의 말에 의하면 비극에 약한 것이 중국문화 즉, 문학이고 그렇기 때문에 옌롄커의 문학은 특별하다고 이야기한다.
<딩씨마을의 꿈>은 열병(에이즈)에 결린 사람들이 결국 그들끼리 어떻게 뭉쳐 살게 되는지 또 그 속에서의 이기적인 모습들과 사랑하려는 모습을 통해

그들이 받는 고통을 생생하게 그려냈다.



P81: 마샹린은 우리 할아버지가 정말로 신약이 없다는 말을 하자마자 '콰당'하고 고꾸라진 것이다.
입가에는 피가 한 가닥 흘러나와 있었고 코에서도 피가 두 가닥 흘러내리고 있었다.



마샹린은 열병에 걸린 사내였다.
그는 곧 죽을 사람처럼 보였으나 할아버지의 신약이 있다는 말에 병이 다 난 것처럼 연주했다.
그러나 결국 그는 자신이 의지할 곳을 잃자 바로 죽어버렸다.
인간의 의지력에 관한 굉장히 솔직하고 사실적으로 죽음을 표현하는 장면이었다.
이 책속에는 그런 장면이 수십 번도 더 나타나는데 계속 읽어내려 가다보면 문득 나도 딩씨마을 사람처럼 죽음에 무덤덤해지는 느낌이 든다.



할아버지의 꿈은 판타지세계이다.
꿈이지만 너무나 사실적이다.
그리고 배경은 꿈이 잔인하든 그렇지 않든 늘 화사하다.
결국 이 모든 것은 현실로 이어지는 구조를 띈다.
고통과 절망에 대하여 가득한 이 책은 옌롄커의 작품이 중국에서는 특이할 뿐만 아니라 '판타지리얼리즘' 이라는 새로운 세계를 구축하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어째서 이 책이 중국에서 판금조치를 당하였는지 이해하기 어려웠다.
이에 대하여 한국독자들에게 드리는 글에서 옌롄커가 하였던 말은

P7: 이 작품이 똑같은 조치를 당한 이유가 무엇인지 알지 못했습니다.
단지 중국인들이 흔히 말하는 '금기를 범했고' '민감한 사인을 건드렸기'때문일 것이라고 짐작만 하고 있었을 뿐입니다.
라는 것으로 끝난다.



고통, 절망, 판타지만 있을 뿐 희망이 없는 것은 어떠한 결과와 이야기를 낳는지 확인하는 작품이 <딩씨마을의 꿈>이 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