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성의 아이
오노 후유미 지음, 추지나 옮김 / 북스피어 / 2009년 5월
평점 :
절판


<시귀>에 이어 두번째로 읽는 오노 후유미의 소설이었다. 끝까지 재미있게 읽었는데, 미묘하게 판타지로 끝나버리는-12국기와 연결되는-결말의 배경은, 이해할 만 하면서도 엇, 싶었다. 생각해보면 그 이전의 이야기가 뚜렷하게 현실적인 것도 아니지만. 갑자기 술술술 풀려가는 바람에 좀 맥이 탁 풀리기는 했다.

한 학교의 선생과 제자로 만나는 세 사람. 고토-히로세-다카사토. 고토의 제자가 히로세이고, 그 히로세가 교생이 되어 모교에 실습을 나와 만난 학생이 다카사토이다. 세 사람은 모두 이 세계에서 유리된 듯한 느낌을 받고 있었다. 고토도 히로세도 그래서 '동류인 듯한' 다카사토를 의식하고 있다. 그렇지만 연륜 있는 고토는 히로세에게 '너와 나는 같은 방향으로 삐져나와 있지만, 다카사토는 다르다'고 초반에 언질을 준다. 히로세는 괴롭힘 당하는 다카사토를 감싸면서 자신과 그를 거의 동일시하지만, 고토는 그것마저 꿰뚫고 히로세를 계속 일깨운다. 히로세는 인정하지 않았지만, 결국 소설 후반에, 다카사토와 두 사람- 정확히는 다카사토와 히로세 간의 차이는 극명하게 대비된다. 한 사람은 정말로 돌아갈 세계가 있는 이생명체, 다른 한 사람은 그저 인간일 뿐.다카사토를 위해 모든 것을 다 할 수 있었다고 말하지만, 이면에는 그만큼의 질투를 품고 있던 히로세. 그는 '선택받지 못했다'. 그렇지만 히로세 스스로도 알고 있었다. 자신이 꿈꾸는 고향은 허무하고 어리석지만 달콤한 꿈,이라고.

ps. 한편 소설은, 자신과 다른 존재를 대하는 인간들의 태도(혹은 광기, 두려움)를 적절하게 묘사하지 않았나 싶다. 이야기를 읽으면서 계속 턱턱 걸렸다. 학교의 학생들이, 이웃들이, 기자들이 다카사토와 히로세에게 던지는 시선들, 심지어 그들의 가족들마저도-. 그렇지만 개인적으로 최고로 불편했던 것은, 결국 마지막에 다카사토를 대하는 히로세의 태도. 충분히 이해하면서도 그래서 보고 있으면 슬퍼진다.

-인간은 인간이라는 사실만으로도 이토록 더럽다.(p.37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