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사랑하고 어떻게 행복할 것인가 - 행복을 습관으로 만드는 하버드 명강의
유키 소노마 지음, 정은희 옮김 / 북플레저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쓴 리뷰입니다.

 

인간은 누구나 행복을 꿈꾸고 그 행복을 잡으려고 노력한다. 그런데 행복이란 무엇인가? 많은 사람이 행복이라는 굴레를 벗어나지 못하고 어떻게 하면 행복할 수 있을지에 대해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그래서 행복한 삶을 찾을 수만 있다면 삶이 아무리 힘들어도 견디고, 매일 반복되는 일상의 틀 안에 갇혀서 움직일 수 없어도 그것을 참고 인내한다. 이런 우리 삶에 저자인유키 소노마는 하버드대학교의 행복 수업을 통해 많은 학생들에게 전했던 철학과 심리학을 통한 실제적 삶의 기술을 독자들에게 전해준다. 저자는 승진을 하고, 부자가 되면 행복해질 수 있다고 생각하는 오류에서 벗어나기를 강력히 촉구한다.


 

뭔가 이루면 행복해질 수 있다는 식의 믿음인 행복의 신화는 사실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성공의 신화는 매력적이기는 하지만, 마치 전설과도 같아서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행복을 학문적으로 보면 감정적인 측면과 인지적인 측면에서 전근할 수 있는데, 감정적인 측면에서의 행복은 즐거움이나 만족감과 같이 매일 변하는 감정을 뜻한다. 인지적인 측면의 행복은 자신의 삶이 어떤 상태에 있는지를 깨닫고 의미나 가치를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추구하는 것을 말한다. 하지만 이러한 측면에서 행복은 덫과 같아서 거기에 한 번 빠지면 헤어 나오기가 매우 어렵다는 것이다.

 



소냐 류보머스키의 How to be happy-행복도 연습이 필요하다에는 행복의 함정이란 엉뚱한 곳에서 행복을 찾으려는 경향을 말한다라는 말이 나오는데, 이 말에서 동화 파랑새를 떠올렸다는 저자의 말에 지극히 공감을 하게 된다. 파랑새를 찾으러 다닌 어린 남매에게서 지금 현대인들이 투영되는 것은 나만의 생각만은 아닐 것이다. 이처럼 파랑새, 행복은 각자의 내면에 있다는 것 또한 격하게 공감하게 된다.


 

저자의 지금 행복하냐?”는 단순한 질문에 다시금 마음을 추슬러 본다. 나는 지금 행복한가? 행복을 좇아 희망의 고문을 하지는 않았나? 하는 생각이 스쳐 간다. 책을 읽으며 깨닫는 사실은 행복은 어떤 편안하고 들기는 삶이 아니라 지금, 이 순간을 즐기는 것이라는 사실이다. 성공이라는 단어와 떼려야 뗄 수 없는 부와 명예는 오히려 행복과는 거리가 먼 것이다. 진정한 행복은 자신의 현재 삶에 만족하는 것이다. 저자는 행복하기 위해서는 감사와 친절이 늘 따라다녀야 한다고 강조한다. 결국 행복은 행복하기 위한 연습이 필요하다. 그 행복을 삶에 적용할 때 비로소 행복한 삶을 살게 된다. 읽어보기를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