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에게는 다양한 우주가 필요하다 - 삶을 아름답고 풍부하게 만드는 7가지 우주에 관하여
앨런 라이트먼 지음, 김성훈 옮김 / 다산북스 / 2025년 3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쓴 리뷰입니다.
저자는 다채로운 우주를 마주하는 순간 인식의 지평이 무한으로 확장된다고 한다. 거대한 우주 속에 존재하는 인간은 그 거대한 우주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라고 생각될 수도 있다. 현대과학은 분명 우리의 감각으로는 보이지 않는 숨겨진 우주를 밝혀낸다. 하지만 그러한 과학적 증명 또한 절대적이지 않으며, 상대적일 수밖에 없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7가지 관점으로 삶을 아름답고 풍부하게 만드는 우주를 보여준다.
이러한 7가지 관점의 탐험을 통하여 과학과 종교 사이의 대화, 영원을 갈구하느 인간의 욕망과 자연의 덧없는 본질 사이에서 빚어지는 충돌, 인간의 존재가 그저 하나의 우연에 불과할 가능성, 현대 기술이 우리가 세상을 직접 경험하지 못하도록 단절하고 있는 상황에 대해 생각할 수 있도록 제안한다는 것이다. 더 나아가 거대한 공간 속에 서 있는 작은 존재로서, 우주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지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다고 한다.

저자는 다양한 관점으로 인간과 우주의 상관관계를 말하려고 한다. 그것이 어떻게 연결되고 충돌하는지를 포괄적이고 다각적으로 분해하고 파헤친다. 그래서 이 책은 과학적 접근도 보이지만 철학적 접근도 보인다. 이미 오래전부터 우주는 인간이 탐구하고자 한 대상이었다. 그래서 저자는 여러 가지의 우주 개념을 정리하여 보여준다. 우연의 우주, 대칭적 우주, 영적 우주, 거대한 우주, 덧없는 우주, 법칙의 우주, 분리된 우주, 등이다. 여기에 인간과 우주의 상관관계를 오롯이 파헤치고자 한다. 그래서 저자는 우주는 우연의 연속으로 생성된 것이라고 한다. 그런데 어떻게 거대한 우주가 우연의 연속으로 생겨나고 소멸할 수 있는가? 그것이 과연 맞는가? 이 세상은 우연을 너무 강조한다. 인간의 조상도 원숭이라는 가당찮은 우연을 이야기한다. 모든 제품은 설계한 이가 있고 그 설계대로 만든이가 있다.
저자가 말하는 다양한 우주의 이론은 답을 찾을 수 없고 명확한 답이 주어지지 않는 질문에 불과하다. 이러한 질문으로 인간 존재의 의미와 우주를 이야기한다는 것은 사실 이해를 넘어 답이 없다. 저자의 주장은 흥미롭기는 하지만 무언가 뜬구름을 잡는 이야기로 들린다. 그래서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요점이 명확하지 않다는 생각을 벗어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