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1시간 책쓰기의 기적
황준연 지음 / 작가의집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쓴 리뷰입니다.


 

작가가 되는 것은 그리 쉽지 않다. 그러나 저자는 단순히 평범한 직장인에서 작가의 꿈을 꾸고, 그 꿈을 이루었다. 좋은 책 쓰기 코치를 만났고, 7개월 만에 작가가 되었다고 하니 놀라울 따름이다. 평범한 사람이 1년에 2권의 책을 출판했다니 놀랍다. 꾸준한 책 쓰기에 대해 배우고 국내의 거의 모든 책 쓰기 세미나를 들을 정도의 열심히 책 쓰기에 임했고, 국내 모든 책 쓰기 관련 서적들을 다 읽었다고 한다. 그래서 저자가 내린 결론은 누구나 책 쓰기는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누구나 책 쓰기를 할 수 있지만 아무나 책 쓰기가 가능한 것은 아니다. 저자의 말처럼 책 쓰기가 그리 쉬운 작업은 아니다. 수많은 문장을 지웠다가 쓰는 반복을 거듭해야 하는 고된 작업이다. 하지만 일단 시작하고, 멈추지 않으면, 한 권의 책은 탄생한다고 하니 책을 출판하고 싶은 이들에게 저자의 조언은 그 어떤 실전보다 더 나을 듯하다.




 

글쓰기는 타고난 것이 아닌 길러지는 것이라는 말에 동의한다. 글도 계속 써 버릇하면 글이 잘 써진다. 책 쓰기의 진정한 비밀은 지금 바로 시작하는 것이다. 완벽한 시작은 없다. 먼저 글을 쓰는 것이 책을 출판하는 첫걸음이 된다고 하니 누구나 한 번쯤은 도전해 보는 것도 그리 나쁜 선택은 아니라는 생각이다. 책 쓰기는 단순한 글을 쓴 것 이상의 의미가 있다. 글을 쓴다는 것은 자신을 깊이 들여다보는 과정이고, 세상과 소통하는 방법이고, 자신의 지식과 경험을 다른 이들과 나누는 행위라고 한다. 그래서 자신이 쓴 책이 누군가에게는 공감이 되고, 위로가 되고, 도전이 되고, 새로운 시각을 제공해 준다고 하니 한 번쯤 책 쓰기에 도전해 볼 만도 하다.


 

저자는 2장에서 책을 어떻게 쓸 것인지에 대한 기획에 관해 상세하게 알려 준다. 책을 출판하는 데 드는 비용과 출판 후 책이 팔릴지 안 팔릴지에 대한 출간 기획서, 그리고 책을 선택하는 독자들의 눈에 띄는 제목을 통해 책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돋보이는 제목 선정 등을 밀도 있게 설명해 준다. 그리고 제목만큼 중요한 목차 구성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도 알려 준다. 그리고 3장에서는 책을 쓴 것에 대한 상세한 가이드를 해준다.


 

책을 쓴다는 것은 전문가들만의 고유 영역이라는 생각을 통렬하게 깨트린다. 책 쓰기에 대한 전반적인 과정과 방법을 상세하게 소개해 주기 때문에 초보자도 책 쓰기가 가능하게 해주는 책이다. <하루 1시간, 책쓰기의 기적>을 도전할 수 있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