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학 예찬 - 문학과 사회학의 대화
지그문트 바우만.리카르도 마체오 지음, 안규남 옮김 / 21세기문화원 / 2024년 9월
평점 :

문학과 사회학의 만남을 지그문트 바우만은 ‘자매’라 부를 만큼 중요한 이유를 말한다. 인간이 경험한 복잡하고 다양한 세계 가운데 문학과 사회학은 다양한 모델과 통계학과 데이터와 객관적 사실만으로는 그것을 온전히 표현하거나 보여줄 수 없음을 말한다. 문학은 본질적으로 은유적이며 환유적이라서 거기에서 뿜어져 나오는 삶의 다양한 모습과 성질들을 표현하는 도구가 되기도 한다. 문학이라는 장르는 책을 통하여 인간의 삶의 다양함을 이해하고 오늘날 수없이 일어나는 사건들을 이해하는 데 놀라운 힘을 보여준다.
이 책은 두 저자가 30년이라는 나이의 간극을 비웃기라도 하듯 합이 매우 잘 맞는 연주자들 같은 모습을 보여준다. 리카르도 마체오는 문학과 사회학은 ‘이차적 해석’의 활동이라고 말하면서 이미 해석된 것의 재해석이라고 말한다. 그러면서 지그문트 바우만의 말대로, 문학과 사회학은 정말로 ‘자매’라는 주장에 힘을 보탠다. 그는 더 나아가 문학과 사회학은 그냥 자매가 아니라 샴쌍둥이 자매라고까지 한다. 이처럼 문학과 사회학은 떼려야 뗄 수 없는 운명적 공통체임을 다시 한번 주장한다.


이 책에서 특히 지그문트 바우만의 탁월한 통찰을 엿보게 된다. 그가 하는 이야기들이 시대를 거슬러 많은 질문과 더불어 시대상을 바라보게 한다. “연속과 불연속이 가장 중요하고 절대적인 대립이라는 오랜 가정을 버리는 것이야말로 인간의 세계 인식의 역사상 획기적인 분수령 중의 하나에서 본질적인 부분이었다고 생각한다.”는 그의 말은 확률적 과정의 결과를 결정론적 성격을 지닌 과정의 결과로부터 분리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 말은 운명론적 선택의 범위를 규정하는 것이다. 운명과 성격이라는 두 요인이 만나서 서로 변증할 때 많은 변화를 가져온다. 이러한 것들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네트워크 작동 방식처럼 우리에게 또 다른 대화의 기술을 가져다 준다는 것이다.
사실 책이 쉽지 않다. 그러나 읽으면서 깊이 있는 생각을 하게 되는 기쁨을 누렸다. 저자가 이렇게 논지를 전개해가고 문학과 사회학을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더 많은 명작들을 언급하면서 깊이 있는 독서의 세계로 이끌었다. 현 시대의 조언이 그리 많지 않지만 이러한 책을 통해 지금을 살아가는 수많은 이들에게 자신의 생각을 가감없이 말하는 그의 생각은 더 깊은 사색으로 이끌었다. 찬찬히 읽고 새겨볼 책이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쓴 리뷰입니다.